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33
한자 無量寺舊址
이칭/별칭 무량사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168-18[만수리 96-1]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소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월 10일연표보기 - 무량사구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량사구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무량사구지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소재지 무량사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168-18[만수리 96-1]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6,600㎡
소유자 무량사
관리자 무량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있는 무량사의 옛 절터.

[개설]

무량사는 신라 시대 범일국사[810~889]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사찰 구조 등으로 미루어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인조 때 재건하였다. 무량사는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살해한 뒤 임금이 된 것을 비판하며 평생을 은둔한 매월당 김시습이 불교에 입문하여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지금의 무량사는 마곡사의 말사이며, 일주문과 계곡을 따라 천왕문, 부여 무량사 극락전이 배치되어 있다. 보물로 지정된 부여 무량사 극락전은 목조 건축물로 무량사의 대웅전에 해당하는 중심 건물이다. 부여 무량사 극락전은 가구 기법과 세부 수법이 뛰어나 중층 건물의 대표적인 건물로 손꼽고 있다. 부여 무량사 극락전 동쪽에는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인 부여무량사명부전이 있고, 서쪽에는 역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인 부여 무량사 영산전이 있다. 그리고 뒷편의 산신각 안에 보물로 지정된 김시습 초상이 봉안되어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무량사김시습부도무량사로 올라가는 입구에 있다. 이외에도 무량사에는 보물로 지정된 부여 무량사 석등부여 무량사 오층석탑이 있으며, 당간지주와 능허당 부도 등도 있다.

[위치]

무량사구지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충청남도 보령시로 넘어가기 전 만수산 남쪽으로 들어가는 계곡 서편에 자리 잡고 있다.

[현황]

무량사구지는 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현재 건물 유구가 일부 남아 있으며 사역에 울타리를 둘러 보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