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69
한자 夫餘 縣內里 三層石塔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금백로 369-18[현내리 375-2]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윤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12월 26일연표보기 -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금백로 369-18[현내리 375-2]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금백로 369-18[현내리 375-2]
성격 석탑
재질 석재
크기(높이) 3m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개설]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夫餘 縣內里 三層石塔)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 탑골마을에 있는 고려 시대 삼층석탑이다. 1973년 12월 26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바뀌었다.

[위치]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은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금백로 369-18[현내리 375-2]에 있다.

[형태]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은 높이 3m 정도이다. 맨 아래 바닥돌은 보이지 않고 위의 기단부터 드러나 있다. 1층으로 마련된 기단은 네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윗돌을 괴어 주는 가장자리에는 얕게 연꽃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2층을 이루는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몸돌은 기단에서처럼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씩 받침을 두었으며, 처마선은 거의 직선을 이루다가 양끝에서 약간 들려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치던 두 개의 네모난 돌만 남아 있다.

[현황]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은 기단의 면석에 약간의 균열이 있고 기단 갑석 일부가 떨어져 나갔으나 대체로 양호한 모습이다.

[의의와 평가]

부여 현내리 삼층석탑은 기단이나 지붕돌 등에서 고려 시대 석탑 양식을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문화재청(https://www.cha.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