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40
한자 林炳稷
영어공식명칭 Im Byeongjik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3년 10월 26일연표보기 - 임병직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3년 - 임병직 오하이오 디킨슨 대학 농학과 수학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 임병직 일제의 만행을 여론에 알리고 독립운동 자금 모집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임병직 재미한인대회 서기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1년 4월 20일 - 임병직 하와이 호놀룰루 재미한족연합위원회 집행부 위원에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42년 2월 - 임병직 샌프란시스코 한인국방경비대 참위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3년 - 임병직 구미위원부 무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임병직 미국전략사령부에 근무하면서 OSS 작전 조력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임병직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부 무관으로 대령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76년 9월 21일연표보기 - 임병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임병직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
출생지 응평리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응평리 지도보기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271-18] 제2유공자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통령 특사|외무부장관|유엔대사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임병직(林炳稷)[1893~1976]의 아버지는 일제 강점기 영동, 평택, 홍성 등지에서 군수를 지낸 임연상(林淵相)이며 어머니는 대구 서씨이다. 2남 1녀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임병직은 1893년 10월 26일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응평리에서 태어났다. 1913년 이승만(李承晩)의 알선으로 미국 오하이오주 디킨슨 대학 농학과에서 수학하였다. 재학 중 『한국학생평론』을 창간하고 편집장으로 일하면서 일제의 한국 강점을 폭로하고 세계에 독립 지원을 호소하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일제의 민간인 학살, 고문 등의 만행을 여론에 알리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였다. 이승만과 서재필(徐載弼) 등이 재미한인대회를 개최하자 서기장에 임명되어 독립운동 방략을 토의하였다. 재미한인대회 종료 후에는 이승만의 비서로 임시정부 구미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임병직은 1941년 4월 20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구성되자 집행부 위원에 선출되었다. 1942년 2월 샌프란시스코에서 한인국방경비대가 조직되자 선전과 참위로 임명되었다. 1943년에는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무관으로 이승만을 도와 한미 외교교섭에 기여하였다. 1943년 재워싱턴한인협회 수석비서관으로 활동하였다. 1944년 미국전략사령부에 근무하면서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 작전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1944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부 무관으로 대령에 임명되어 한미 교섭 부문에서 활약하였다. 광복 후에는 대통령 특사, 외무부장관, 유엔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1976년 9월 21일 사망하였다.

[묘소]

임병직의 묘소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271-18]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임병직의 공적을 기려 1976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