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경제·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94
한자 經濟·産業
영어공식명칭 Economy and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된 활동 전반.

[개설]

2021년 현재 부여군의 주민 등록 인구 수는 6만 3774명이며, 이는 2019년 대비 2,966명 감소한 수치에 해당한다. 2021년 전입 인구는 5,055명으로 전출 인구[5,513명]보다 적어 458명의 순 유출이 발생하였다. 2020년에 출생아 수는 167명인 데 반하여 사망자 수는 900명으로 733명의 자연 감소가 나타났다. 혼인은 145건이 이루어졌고 이혼은 133건이 발생하였다. 합계 출산율은 0.809%에 해당한다. 2020년 현재 세대 수는 3만 3738 세대이며, 인구 밀도는 제곱킬로미터[㎢]당 106.4명에 해당한다. 세대 당 인구는 1.97명이며, 65세 이상 고령자는 2만 1651명에 이른다.

2021년 하반기 현재 부여군 내 15세 이상 인구는 5만 7200명이며, 이 가운데 경제 활동 인구는 3만 8300명으로 15세 이상 인구에서 경제 활동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인 경제 활동 참가율은 66.9%에 해당하였다. 경제 활동 인구 가운데 취업자는 3만 7800명이고 실업자는 500명에 해당한다. 고용률은 66.1%이며, 15~64세 대상 고용률은 72.5%에 해당한다. 실업률은 1.2%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부여군의 지방세는 635억 9800만 원으로, 세대 당 부담액은 189만 5000원, 1인당 부담액은 97만 3000원으로 나타났다.

[경제 활동의 지리적 분포]

2020년 현재 사업체 수는 7,804개이며, 종사자 수는 2만 5142명에 해당한다. 전체 종사자에서 여성은 1만 514명으로 41.8%를 차지한다. 지역 내 총생산[GRDP]은 1조 9252억 6000만 원[시장 가격]으로 충청남도 전체[113조 4883억 2500만 원]에서 1.7%를 차지한다. 토지 면적, 인구 비중 등을 고려하면, 부여군의 경제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2020년 기준 경제 총 조사에 의하면, 읍·면별 사업체의 분포는 부여읍 3,509개[45.0%], 규암면 1,103개[14.1%], 세도면 491개[6.3%], 은산면 370개[4.7%], 석성면 361개[4.6%], 홍산면 342개[4.4%] 등으로 나타난다.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부여읍 1만 2223명[48.6%], 규암면 4,438명[17.7%], 은산면 1,175명[4.7%], 석성면 1,143명[4.5%], 홍산면 994명[4.0%] 등을 중심으로 주로 분포한다. 한편,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읍·면별 분포에서 순위는 큰 변동이 없으나 비중은 다소 상이하다. 이를테면, 부여군 전체에서 부여읍의 매출액 비중은 가장 높으나 34.7%로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낮은 수준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이와 같은 사업체의 분포는 부여군의 생산 활동이 지리적으로 부여읍에 상당히 의존적임을 나타낸다.

[산업 구조]

2021년 현재 농가 인구는 1만 6658명으로 주민 등록 인구에서 26.1%를 차지한다. 농가는 7,995가구이며, 전체 가구[2만 8848가구]에서 27.7%에 해당한다.

2020년 기준 경제 총 조사에 의하면, 제조업에는 535개의 사업체와 2,970명의 종사자가 속하는데, 부여군 전체 산업에서 사업체 수 기준 6.9%, 종사자 수 기준 11.8%에 해당한다. 충청남도 전체에 대한 제조업 해당 비율이 각각 9.6%와 29.5%임을 감안할 때 부여군의 제조업 기반은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알 수 있다. 사업체 수 기준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으로 1,875개의 사업체가 속하여 있으며, 지역 내 비중은 24.0%에 이른다. 반면, 종사자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건설업에서 4,292명이 종사하여 부여군 전 산업 종사자 수에서 17.1%를 차지한다. 매출액 기준 산업별 비중은 제조업 30.9%, 도매 및 소매업 20.8%,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 보장 행정 8.6%, 건설업 7.1%, 금융 및 보험업 5.3%, 농업·임업·어업 5.2%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참고문헌]
  •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 부여군청(https://www.buyeo.go.kr)
  • 통계청(https://kostat.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