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42
영어공식명칭 Goodtra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성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2004년 7월 1일연표보기 - 굿뜨래 관련 조례 제정
시행 시기/일시 2004년 7월 1일연표보기 - 굿뜨래 1차 사용 승인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1년 -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공동 브랜드 부문] 대상 수상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3년 -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공동 브랜드 부문] 대상 수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의 공동 브랜드.

[개설]

충청남도 부여군의 공동 브랜드인 굿뜨래는 부여의 기름진 땅과 천혜의 깨끗한 자연환경인 좋은[Good, 굿] 뜰에서 생산된 최고의 제품을 표현한다. 영어로 좋다는 의미인 GOOD과 자연을 상징하는 나무라는 뜻인 TREE의 합성어로 ‘좋은 자연’을 상징한다. 프랑스어로 미각, 식용, 입맛, 심미안, 안목, 센스의 의미를 가진 Gout(굿)과 몹시, 매우, 대단히 의미를 가진 Tres(뜨래)의 합성어인 굿뜨래(Gouttres) 발음과 같다.

[제정 경위 및 목적]

굿뜨래는 부여군 지역의 생산품이 고품질 생산 시스템을 통하여 생산되고, 현대화된 유통 구조를 갖추고 있어 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품질을 지녔음을 알리기 위하여 개발된 공동 브랜드이다. 부여군은 공동 브랜드 굿뜨래를 통한 엄정한 품질 관리와 공격적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여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와 부여군의 위상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관련 기록]

굿뜨래는 2023년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 대상에서 농특산물 공동 브랜드 부문 1위로 선정되었다. 2011년 첫 선정 이래 12년 연속으로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 대상으로 선정된 것이다.

[내용]

굿뜨래 브랜드의 사용 신청은 부여군 내에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는 생산자 단체 가운데 법인, 회원 농협, 작목반, 작목회 또는 사업자 등록을 가진 사업자만이 할 수 있다. 가공업체나 개별 농가는 신청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작목반과 작목회는 농협 등 해당 기관에 등록된 경우에만, 법인은 법인 등기를 마친 경우에만 굿뜨래 브랜드의 사용 신청을 할 수 있다.

승인 기간은 2년으로 2011년부터 홀수 해의 1월 1일에 굿뜨래 브랜드의 사용 승인 심사를 한다. 브랜드 사용 심사는 지정 공무원에 의한 1차 예비 심사, 전문 기관 용역을 통한 2차 예비 심사, 그리고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본심사로 구성된다. 승인된 사업자는 품질 관리를 위한 기계 장비 구입 및 HACCP 인증 비용 등을 지원받는다.

부여군의 대표 농특산물인 부여 10품[수박, , 토마토, 양송이, 멜론, 딸기, 오이, 표고버섯, 포도, 왕대추]이 ‘굿뜨래’ 브랜드로 판매된다.

굿뜨래는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일정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2021년 부여군의 농식품 수출 실적은 1억 800만달러이다. 주요 수출 품목은 인삼, 홍삼, 파프리카, , 토마토, 멜론, 포도 등이며, 주요 수출 국가는 중국, 대만, 미국, 일본, 홍콩, 베트남, 캐나다 등이다.

부여군은 굿뜨래의 대내외 인지도를 높이고 해외 바이어 발굴을 위하여 2004년부터 국내외 관련 박람회에 참가하거나 미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1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해외 판촉 행사를 벌이고 있다.

굿뜨래 브랜드의 2022년 매출은 2790억 원이며, 이 중 해외 시장 수출 실적은 전세계 28개국에 3,833톤, 1억 2100만 달러이다.

[변천]

굿뜨래 브랜드는 2003년 12월 개발되었다. 2004년 7월 1일 관련 조례가 제정되고 45개 조직·업체에 대하여 1차 사용 승인이 이루어짐으로써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2006년 7월 1일 110개 조직 및 업체를 대상으로 2차 사용 승인이 이뤄졌으며, 2008년 59개 조직 및 업체 대상 3차 사용 승인, 2011년 71개 조직 및 업체 대상 4차 사용 승인이 이루어졌다. 이후로는 매 2년 주기로 사용 승인이 이뤄지고 있으며, 통상 70개 내외의 조직 및 업체를 대상으로 승인이 이루어졌다. 2023년 1월 63개의 경영체가 10차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의의와 평가]

농업이 지역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부여군의 현황을 고려할 때, 굿뜨래와 같은 공동 브랜드의 개발 및 운영은 지역에서 생산된 농특산물의 판로 개척에 큰 도움을 줌으로써 지역 농업의 성장에 기여한다. 굿뜨래 홍보관에 따르면 특히 굿뜨래에서 지원하는 해외 판로 개척 사업은 부여군이 2018~2020년 기간에 충청남도 농식품 수출 1위를 달성하는 데 일조하였을 것으로 평가된다.

군에서 관할하는 공동 브랜드는 홍보 효과와 함께 소비자들에게 품질 등에 대한 신뢰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니는 반면, 개별 업체가 공동 판촉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거나 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품질을 철저하게 관리하지 않는 경우 참여 업체 전체에 피해가 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별 업체의 도덕적 해이를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요구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