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276
한자 韓國傳統文化大學校
영어공식명칭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이칭/별칭 한국전통문화대학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367[합정리 61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2000년 3월 2일연표보기 - 한국전통문화학교 개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1년 3월 2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와 전통미술공예학과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3월 4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적학과와 보존과학과 개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2년 4월 23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중앙도서관 개관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28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준공
개칭 시기/일시 2011년 7월 14일연표보기 - 한국전통문화학교에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3년 3월 4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개원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9년 3월 1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제문화재교육센터 신설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20년 12월 21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물관 개관
현 소재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로 367[합정리 619]지도보기
성격 대학교
전화 041-830-7114
홈페이지 https://www.nuch.ac.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에 있는 전통문화와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및 교육을 위한 국립 대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건학 이념은 ‘민족자존, 문화 창달’이고 학교 비전은 ‘미래를 여는 문화유산 글로벌 대학’이다. 전통문화 전문 인재 양성, 혁신적 문화유산 미래 선도, 문화유산 글로컬(Glocal) 경쟁력 강화를 3대 핵심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변천]

한국전통문화대학교(韓國傳統文化大學校)는 1996년 4월 19일 대통령령 제14982호로 학교 설치령이 제정된 이후 2000년 3월 2일 문화재관리학과와 전통조경학과의 2개 학과로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2일 전통건축학과와 전통미술공예학과를 개설하였고 2002년 3월 4일 문화유적학과와 보존과학과를 개설하였다.

2002년 4월 23일 중앙도서관을 개관하였고 2008년 12월 28일 전통문화교육원을 준공하였다. 2011년 7월 14일 한국전통문화학교에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3년 3월 4일 대학원을 개원하였고 2019년 3월 1일 국제문화재교육센터를 신설하였다. 2020년 12월 21일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교육 활동]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전통문화의 계승 및 발전과 문화유산의 보존, 관리, 활용 등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에서 설립한 특수 목적 대학이며 전통문화와 문화유산을 교육하는 국내 유일의 국립 대학이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소수 정예 맞춤형 교육으로 전통문화와 문화재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현장 실습 교육과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최적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기·실습을 위한 교육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고 전승 및 유지를 넘어 전통의 현재화와 미래의 가치를 선도할 현장 참여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주요한 연구 사업에 학생들을 참여시켜 실천적 이론과 실질적인 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문화유산 맞춤형 인재 사업의 일환으로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는 문화유산 산업 분야 ‘의무 근무 이행형 장학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우수 인재 양성 장학 제도, 문화재 수리 기술자 장학 제도, 무형 문화재 이수자 장학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주성혜/ 작곡 이영조]

우리 겨레 긍지 담아 역사를 열어/ 미래 천년 밝혀 나갈 전통의 횃불/ 그대의 지혜를 이어 자랑을 빚고/ 그대 감성 맘에 품어 희망을 꽃피우리/ 민족의 얼을 이어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를 향해 달리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 민족 향기 스민 인류의 자산/ 창조 정신 이어 나갈 인재의 요람/ 보아라 예지의 산실 겨레의 희망/ 우리 가슴 손끝에서 역사가 꽃피우리/ 민족의 얼을 이어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미래를 향해 달리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현황]

2023년 현재 기술과학대학과 문화유산대학 등 2개의 단과대학과 일반 대학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문화유산혁신인재개발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 기술과학대학에는 전통건축학과와 전통조경학과, 문화재보존과학과가 개설되어 있고 문화유산대학에는 전통미술공예학과와 무형유산학과, 문화재관리학과, 융합고고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일반 대학원에는 석사 과정과 박사 과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통건축학과, 전통미술공예학과, 문화유산융합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일반 대학원과는 별도로 문화유산전문대학원과 미래문화유산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문화유산전문대학원에는 문화재수리기술학과와 문화유산산업학과가 개설되어 있고 미래문화유산대학원에는 도시문화경영학과와 전통문화활용교육학과, 한국정원문화콘텐츠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2022년 현재 전체 재학생 수는 591명이며 전임 교원 수는 36명이다. 부속 기관으로는 전통문화교육원, 전통문화상품개발실, 전통문화연구소, 국제문화재교육센터, 세계유산지속가능센터, 학술정보관, 산학협력단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