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488
영어공식명칭 Daejosa Temple and Maitreya Buddha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구교리 12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광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3년 1월 21일 - 「대조사와 미륵불」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보물 지정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 「대조사와 미륵불」 한민에서 발행한 『여기가 부여다』에 수록
관련 지명 대조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구교리 산12-1]지도보기
채록지 구교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중|좌평
모티프 유형 정성 들이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대조사와 미륵불과 관련하여 전하는 이야기.

[개설]

「대조사와 미륵불」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 있는 대조사(大鳥寺)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扶餘 大鳥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관련하여 전하는 이야기이다.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대조사와 미륵불」은 1992년 한민에서 발행한 『여기가 부여다』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에서 마을 주민이 구술한 내용이 채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백제 시대에 가림군(加林郡)[지금의 임천면] 큰 바위 아래에서 불공을 드리는 늙은 중이 있었다. 중은 가림군에 절을 세우고 큰 미륵보살을 모시어 많은 사람들이 찾게 하여 달라고 항상 빌었다. 그러던 어느 날 중이 깜빡 잠이 들었는데 금빛의 새 한 마리가 날아왔다. 새는 불공을 드리던 중의 주위를 한 바퀴 돌더니 한곳에 내려앉았다. 새가 나무에 내려앉자 빛이 더욱 눈부시게 솟아나서 중 뒤편의 바위에 찬란한 빛이 들었다. 빛은 바위를 한참 쬐다가 점점 사그라들었다.

중이 꿈속에서 눈을 감고 있다가 앞을 바라보니 미륵불이 눈앞에 서 있었다. 중이 꿈에서 깨어 주변을 둘러보자 꿈에서 보았던 미륵불이 그대로 눈앞에 서 있었다. 중이 미륵불을 한참 바라보자 꿈에서 본 것처럼 빛이 나더니 빛이 온 천지에 퍼져 나가기 시작하였다. 미륵불에서 나온 빛이 멀리 전국에 비치므로 고구려와 신라의 사람들까지 짐을 싸 들고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미륵불에 대한 소식을 들은 백제 왕실에서도 좌평을 보내 직접 확인하게 하였다. 좌평이 미륵불을 목격하여 자신이 직접 본 것을 궁궐에 전하자, 백제의 신하들도 떼를 지어 찾아왔다. 임금 역시 미륵불이 있는 곳이 불심이 가득한 곳이라 칭찬하며 큰 절을 짓게 하였다. 중의 소원대로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합하여 절을 지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절을 짓게 한 왕은 백제 성왕(聖王)[?~554]이다. 절이 완성되자 거대한 식전이 베풀어졌고, 금빛의 새가 온 천지에 길함을 심어 주었다 하여 절의 이름을 ‘대조사’라고 하였다.

[모티프 분석]

「대조사와 미륵불」에는 ‘정성 들이기’ 모티프가 담겨 있다. 절을 세우고 큰 미륵보살을 세우고자 항상 불공을 드리던 늙은 중의 정성에 감동하여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종교적 소원의 성취가 백제 성왕 때의 역사적 사실과 맞물려 백제의 중흥과 연결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