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526
한자 百濟洑
이칭/별칭 부여보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 6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민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12년 6월연표보기 - 백제보 준공
현 소재지 백제보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 601 지도보기
성격 수리 시설
면적 7,976㎢[유역 면적]
전화 041-830-0601[한국사자원공사 금강보관리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자왕리와 청양군 청남면 왕진리 사이에 있는 금강 유역의 수리 시설.

[개설]

백제보(百濟洑)는 2009년부터 시작된 ‘4대강 유역 종합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금강 유역에 설치된 수리 시설이다. 당시 금강 유역에 조성된 3개의 보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가운데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보는 2021년 1월 18일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상시 개방’을 결정함에 따라 상시 개방하고 지속적으로 수질 및 생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백제보 관리를 담당하는 한국수자원공사 백제보관리단은 금강문화관과 함께 환경 교육 프로그램, 진로 체험 프로그램 등 교육 프로그램은 물론 금강그리기 대회, 아름다운 사진 공모전 등 대회 및 공모전도 개최하고 있다.

[건립 경위]

2009년, 4대강 유역 종합 개발 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금강 수위 조절과 농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부여군과 청양군 사이를 흐르는 금강 유역에 보를 건립하기로 결정하였다. 처음에는 ‘부여보’라고 불렀으나, 부여군과 청양군 사이를 흐르는 금강 유역에 있으므로 ‘백제보’라는 호칭으로 고쳐 불렀다. 총 공사비 2800억 원을 투입하여 2009년 10월 착공하여, 2011년 10월 완공하였으며, 2012년 6월 준공하였다.

[현황]

백제보의 ‘다기능 보’의 길이는 가동보 120m, 고정보 191m 포함 311m이며, 폭은 7m, 높이는 5.5m이다. 백제보 유역 면적은 7,976㎢이며, 금강 총 유역 면적의 약 80%에 해당한다. 2420만㎥의 저수량 확보가 가능하다. 공도교 길이는 다기능 보 311m를 포함하여 총 연장 680m이며, 자전거 도로 및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다. 공도교는 3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구역 위치에 따라 3개 기관에서 각각 관리하고 있다. 다기능 보 구간은 환경부에서 금강보관리단에 위탁하여 운영하고, 양쪽 가장자리 부분 가운데 부여군 쪽 구간은 부여군이, 청양군 쪽 구간은 청양군이 관리한다.

백제보는 핵심 시설인 다기능 보 이외에 부속 시설로서 소수력발전소, 금강문화관, 전망대를 운영하고 있다. 소수력발전소는 660㎾ 발전기 4대, 총 2,640㎾의 시설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발전량은 14.1GWh로, 약 4,800가구에서 사용 가능한 규모이다.

2012년 4월 29일 문을 연 금강문화관은 3층 건물이다. 1층은 사무실, 2층은 금강 관련 전시 공간, 3층 강당은 행사장으로 활용된다. 전망대에서 백제보금강 유역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물정보포털(https://www.water.or.kr)
  • 한국수자원공사(https://www.kwater.or.kr)
  • 인터뷰(한국수자원공사 백제보관리단, 2022. 10. 2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