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91
한자 合松里
영어공식명칭 Haps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윤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 개설
성격 법정리
면적 5.08㎢
가구수 637가구
인구[남/여] 1,381명[남 681명|여 700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 유래]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동리(松東里), 송서리(松西里)가 합쳐졌다는 의미에서 합송리(合松里)라 하였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백제 소부리[사비] 지역으로 통일 신라 시대에는 671년(문무왕 11) 소부리주[사비주], 686년(신문왕 6) 소부리군, 경덕왕 때 부여군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부여군과 부여현 지역이었다. 조선 시대 부여현 송당면(松堂面), 조선 말에는 부여군 송당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리, 송서리와 노화리(蘆花里)의 일부가 병합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합송리의 대부분은 평탄한 지형이며, 북쪽에는 반산저수지가 있고, 동쪽에는 오목산이 있다. 금강의 지류가 마을의 남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흘러 금강에 합류한다.

[현황]

합송리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동북부에 있는 규암면의 19개 법정리 가운데 하나이며, 규암면의 남서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내리, 서쪽으로 노화리, 남쪽으로 장암면 원문리, 북쪽으로 수목리·석우리와 접하여 있다. 행정리로는 합송1리, 합송2리, 합송3리, 합송4리가 있다. 자연 마을로는 송당, 동부, 새터, 장구동 등이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5.08㎢이며, 인구는 637가구, 1,381명[남자 681명, 여자 700명]이다. 주요 시설로는 규암보건지소와 합송초등학교가 있다. 교통로는 국도 제4호[대백제로]가 마을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른다. 국도 제4호 기준으로 북쪽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쪽에는 구룡평야가 펼쳐져 있다. 주 소득원은 수도작 농업이며, 시설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작물은 토마토, 양송이 등이다. 금강 유역 철기 시대 유적인 합송리 유적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