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30
한자 恩山 道泉寺址
영어공식명칭 Temple Site Doche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대양리 455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영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12월 28일연표보기 - 은산 도천사지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29호 지정
소재지 도천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대양리 455 지도보기
성격 절터
지정 면적 6,134㎡
소유자 개인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29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대양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절터.

[개설]

은산 도천사지는 백제 의자왕 대로 창건 연기가 알려져 있지만, 은산 도천사지 내에 산포된 유물의 양상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운영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변천]

은산 도천사지 내에 있는 은산 도천사 사적비에 의하면 백제 의자왕의 동생인 도천군의 원당(願堂)으로 건립되었으며, 조선 세조 대에 기존 배치를 혁파하고 새로 28방(房)을 설치하였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자 옛 터에 동랑과 서랑을 중건하고, 40년 뒤에 4암자를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위치]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충청남도 청양군에 이르는 도로를 따라 은산면소재지를 지나 약 5㎞쯤 가면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대양리에 이르는데 도로에서 ‘주막내’ 동네로 향하는 소로를 거슬러 올라가면 은산 도천사지가 있다.

[현황]

은산 도천사지는 주막내마을 서쪽 종단에 있는 남향의 구릉상에 자리하고 있다. 사역은 그리 넓지 않으나 사역과 관련된 석재 및 다량의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1999년 12월 28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29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정밀 조사가 신속히 이루어져 은산 도천사지의 원 위치 이동설 및 고려 시대 이전 운영 시기에 대하여 명확한 규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