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74
한자 趙炳斗
영어공식명칭 Jo Byeongdu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6년 3월 1일연표보기 - 조병두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06년 5월 - 조병두 홍주의진에 가담하여 홍주성 전투 참전
활동 시기/일시 1906년 7월 - 조병두 청양에서 의병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06년 8월 - 조병두 연산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 체포
몰년 시기/일시 1906년 8월 11일연표보기 - 조병두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조병두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출생지 장벌리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 지도보기
활동지 홍산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지도보기
활동지 홍주 - 충청남도 홍성군
성격 의병|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개항기 부여 출신의 의병.

[활동 사항]

조병두(趙炳斗)[1886~1906]는 1886년 3월 1일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에서 태어났다. 1906년 3월에 봉기한 뒤 홍주성 전투에서 패배하였던 홍주의진이 5월 9일 홍산(鴻山)[현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일대]에서 재봉기할 때 논과 밭을 매각하여 군자금으로 헌납하고 의진에 합류하였다. 민종식(閔宗植)은 이세영(李世永)·채광묵(蔡光默)·이용규(李容珪) 등과 함께 홍산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킨 뒤 홍주의진을 이끌고 5월 19일 홍주성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이후 일본 경찰 및 헌병대의 공격을 격퇴하였으나, 서울의 포병 및 기병 2개 중대와 전주수비대 1개 소대 등이 증파된 일본군에게 5월 31일 홍주성이 함락되었다. 조병두는 전투 중 참모장 채광묵 부자를 비롯한 수백 명의 의병과 양민들이 희생되는 와중에 탈출하여 후일을 도모하였다.

1906년 7월 조병두이용규, 채경도(蔡景燾), 오상준(吳相俊) 등과 함께 청양 추치(抽峙)에서 400여 명의 의병을 조직하였다. 논산의 노성(魯城)을 지나 연산(連山) 부흥리(富興里)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조병두는 전투에서 중상을 입고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공주로 호송되던 중 8월 11일 대전역에서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조병두의 공적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