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229
한자 中和楊氏
영어공식명칭 Junghwa Yang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지산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세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조 생년 시기/일시 1439년 - 양희지 출생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1504년 - 양희지 사망
본관 중화 - 북한 황해북도 중화군
세거|집성지 지산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평양 - 북한 평양직할시
성씨 시조 양포
입향 시조 양희지

[정의]

양포를 시조로 하고 양희지를 입향조로 하는 대구광역시의 세거 성씨.

[연원]

중화양씨(中和楊氏)의 시조는 고려 고종(高宗) 때 정승을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당악군(唐岳君)에 책봉된 양포(楊浦)이다. ‘당악’은 중화의 옛 이름으로, 이후 후손들이 중화를 본향으로 삼아 세계를 이었다. 이후 양포의 6세손인 양백지(楊百枝)가 고려 말에 서경천호(西京千戶)를 지내며 평양에 자리 잡은 이래 후손들이 주로 평양을 중심으로 세거하였다.

[입향 경위]

중화양씨의 대구 입향 경위는 확실하지 않지만, 입향조는 조선 전기 대사간을 지낸 양희지(楊熙止)[1439~1504]로 추정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성종 9년[1478년] 6월 5일 자 기사에 따르면 “홍문관부수찬 양희지가, 노모가 경상도 대구부에 있기 때문에 귀양(歸養)할 목적으로 상장(上狀)하여 사직하였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양희지는 40세 이전에 이미 대구에 거주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중화양씨 대구 입향조는 양희지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양희지의 후손들은 수성구 지산동에 집성촌을 이루어 세거하였다.

[현황]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15년 현재 중화양씨는 7,287명으로 조사되었다.

[관련 유적]

대구 지역 중화양씨 관련 유적으로는 수성구 파동오천서원(梧川書院)이 있고, 오천서원 아래에 양세흥(楊世興)을 모시는 무릉재(武陵齋)가 있다. 또 황금동에는 양달화(楊達和)[1694~1756]를 추모하는 영모재(永慕齋)가 있고, 지산동에는 학산재(鶴山齋)가 있다. 이 밖에도 달성군 가창면 상원리에는 양선화(楊善和)를 추모하는 원모재(遠慕齋)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