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012
영어의미역 Sweet and Sour Plums and Grape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창기

[개설]

1. 자두

자두는 복숭아나 체리처럼 핵과(核果)이다. 몇몇 종(種)의 자두나무는 키가 6~10m에 달하지만 다른 종들은 그보다 작으며, 일부는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관목이다. 대부분 품종에서 꽃봉오리는 짧은 가지 위나 주(主)가지 끝을 따라서 달린다. 각각의 눈에는 1~5개의 꽃이 들어 있으나 흔히 2~3개의 꽃이 피며, 눈이 서로 가까이 있어 꽃이 활짝 피면 아름다운 꽃송이가 빽빽이 뭉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꽃에는 꽃받기[花托]가 발달해 있는데, 꽃받기가 부풀어 속이 빈 잔처럼 되며 잔처럼 생긴 부위의 가장자리에 꽃잎·꽃받침잎·수술이, 속의 밑바닥에 하나의 암술이 달린다.

수정이 일어나면 꽃받기와 여기에 붙어 있는 것들이 떨어지고 암술대가 시들어 떨어지며, 나중에 열매가 되는 암술의 넓은 아랫부분, 즉 씨방만이 남는다. 열매가 자라면 씨방의 바깥 부분은 외과피(外果皮)와 내과피(內果皮)로 익게 되는데 외과피는 다육질로 즙이 많고 먹을 수 있으며, 딱딱한 내과피는 핵 또는 씨로 이루어진다. 열매의 크기·맛·색깔·질이 다양하다.

자두는 “예부터 성질이 온화하고 맛은 쓰며 떫은 독이 없는 간장약이다” 하여 간이 나쁜 사람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변비에도 효과가 좋고, 핵과류 중 가식부가 가장 많으며, 탄수화물의 비중이 높고 특히 비타민 A가 많다. 생과 및 건과로 이용되며 예부터 충치통, 풍치, 벌레 물려 부어 아플 때, 각기, 습증, 가렵고 아플 때, 더위 먹을 때, 주취로 위가 아플 때 등 민간 약제로도 이용되었다.

2. 포도

포도는 장과(漿果)이며, 7~8월에 갈자색으로 익는다, 향미가 좋고 육즙이 풍부하여 널리 이용되는 과일이다. 성숙함에 따라 당분이 증가하고 산이 감소하며 완숙하면 당분이 최대가 된다. 당분은 보통14~15%이다, 향미 성분으로 여러 가지 유기산이 있는데 주석산과 사과산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주산지는 경상북도 김천시, 영동군, 상주시 등이며 품종으로 캠벨얼리, 거봉, 새단 등 다양하다.

포도속(葡萄屬) 식물은 북반구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 40~50종이 분포되어 있는데 현재 재배 품종과 관계있는 것이 10여 종이다. 이들을 원생지별로 보면 아시아 서부 원생, 아시아 동부 원생, 북미 대륙 원생으로 분류된다. 이중 북미 대륙 원생 것이 가장 많고 다음이 아시아 동부 원생이며, 아시아 서부 원생은 1종밖에 없다. 그러나 재배 품종은 대부분 서부 원생인 유럽종으로 세계 포도 생산의 98.5%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미국종 포도로서 북미 대륙 원생종으로부터 선발한 품종, 그리고 이들과 유럽종을 교잡하여 얻은 품종들이다. 아시아 동부 원생종 중에서 품질이 특별히 우수한 것은 없고 중국 북부로부터 만주, 우리나라에 분포되어 있는 왕머루가 일부 지역에서 산포도라는 이름으로 재배되어 주로 포도주로 가공되고 있다.

[김천 자두의 역사]

김천 지방에는 고려 시대인 12세기 말경 서하(西河) 임춘(林椿)[1147~1197]이 개령현 대곡[한골]에 은거하면서 남긴 『서하집(西河集)』에 기록이 남아 있다. 「장검행(杖劍行)」이란 시중 ‘오얏 담근 이리주 한골로 내려’라는 구절이 나온다, 오얏은 자두를 일컫는 말이며 한골은 현재 김천시 아포읍 대신리를 지칭한다. 자두로 술을 담가 먹었다는 것은 자두가 그만큼 많이 재배되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현재 재배 중인 신품종은 1948년 김천시 농소면 월곡리에서 일본으로부터 도입한 품종들이다.

[자두의 특징 및 지리적 여건]

김천은 추풍령 고개가 찬바람을 막아 기온이 다른 지역보다 높아 영천, 경산보다 1주일 정도 숙기가 빠른 특수한 지리적 여건을 지니고 있다. 토양 또한 게르마늄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로 당도가 높은 품질 좋은 자두를 생산하기에는 최적의 위치에 있다.

[김천 자두의 생산 현황 및 전망]

김천 지역의 자두는 2,700여 농가에서 1,200㏊ 재배로 전국의 23%를 차지하며 연간 약 12,000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재배 품종은 대석조생 30%, 포도사 40%로 주품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타 수분수(受粉樹)[다른 꽃의 꽃가루를 받을 수 있도록 섞어 심는, 품종이 다른 과실나무]로 솔담(Soldam), 산타로사, 켈시를 이용하며 현재 많이 늘어나고 있는 품종은 대왕자두, 추희 등이 있으나 품종 특성 검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자두의 품질 향상 및 단경기 출하를 목적으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자두 하우스 재배에 성공하여 현재 5농가 1.2㏊ 재배로 노지보다 약 1개월 정도 빨리 수확하고 있으며, 홍수 출하 시 가격 하락 방지를 위하여 자두식초 가공 기술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김천대학 향토식품과학원에서 자두주를 개발하여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자두는 과일 특성상 보구력이 떨어져 수송 및 저장력이 약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없는 과일로 수입 개방의 영향이 적으며, 피서철 이용 과실로 앞으로 전망이 매우 밝은 과종이다.

[김천 포도의 재배 기원]

포도는 중국으로부터 처음 전래되었다. 중국에서 포도를 포도(葡萄) 또는 초용주(草龍珠)라고 불렀는데 포도주를 마시면 도연(陶然)히 취한다고 하여 포도라 하였고 그 모양이 둥글어 초용주라고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흰 포도는 수정(水晶) 포도, 검은 포도는 자포도라고 하였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徑)』에 포도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중국의 포도는 한(寒)나라[B.C. 202~A.D. 8] 이전에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유럽종 포도의 전래는 유럽에 사신으로 간 장건(張騫)이 처음 가져왔다고 한다. 이때 양조법도 함께 전해진 것으로 짐작된다.

당나라[618~907] 때에도 유럽으로부터 포도와 양조법이 전래되었는데 우리나라에는 이 때 포도가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당나라의 멸망과 함께 포도 재배도 쇠퇴하였다. 그 후 몽고족의 원나라[1271-1368]가 페르시아를 정복하여 서양 문물을 접할 때 포도와 포도주가 수입되어 우리나라에 다시 전래되었으나 발전하지 못하고 명맥만 유지하다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도 포도에 관한 사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태종은 1411년 8월 5일 포도를 바친 박승에게 쌀 5석을 하사하였고, 성종은 1492년에 포도를 승정원, 홍문관에 내려 주었다고 하였다. 한편 연산군은 1505년 6월 27일 수정 포도를 구하여 봉진하라 하였다. 같은 해 7월 25일 경회루에서 대비와 함께 연꽃을 구경하는데 승지가 수정 포도를 얼음과 함께 쟁반에 담아 비치니 시 한 구절을 내기를 “얼음 채운 파랑 알이 시원해/ 옛 그대로인 성심에 절로 기쁘네/ 몹시 취한 주독만 풀어 주는 것이 아니라/ 병든 위, 상한 간도 고쳐 주겠네”라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그 당시에도 포도가 재배되고 있었으나 그 양이 적어 극히 귀한 과실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포도는 과실로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도 중히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에 걸쳐 청포도인 수정 포도의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청포도를 더 선호하였음도 엿볼 수 있다.

김천 지역의 포도 재배는 1906년 뚝섬에 원예모범시험장이 설립된 후, 그 영향을 받아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며, 1960년대에는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신품종을 도입, 선발하여 재배하게 되었다.

[김천 포도가 주산지로 형성된 사회·지리적 배경]

김천은 경상북도 서북부에 위치 남한 내륙 중심지로 면적은 서울의 약 1.7배에 해당하며 13만여 인구가 살고 있는 중소 도시이고, 서울과 부산의 중간 지점으로 사통발달의 도로망으로 지리적 요충지이며 과거 농업 시대에는 소금, 농기구 등의 교역이 활발하여 조선 시대에는 전국 5대 시장으로 명성을 떨친 곳이기도 하다.

초상(初霜) 10월 23일, 만상(晩霜) 4월 26일로서 무상 기간이 180일 정도의 농업 지대로 알맞고 시가지를 중심으로 낙동강의 지류인 감천(甘川)직지천(直指川)이 있어 비교적 좋은 수질적 조건을 갖고 있으며, 황악산(黃嶽山)을 기점으로 금오산, 고성산(高城山)을 둘러싼 중간 평야지로 각종 과수 및 참외, 양파 등이 재배되어 농산물 생산지의 거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배경에 힘입어 해방 이전에는 전통적 벼, 보리 등의 곡류 농사가 주축을 이루어 왔으며 김천 근교의 일부 지역에서 파, 배추 등의 소채 농업이 발전했고 한국의 잠업 발달과 같이 6·25 전쟁 이후는 논을 제외하고는 중산간지에서는 뽕나무 밭이 조성, 1970년대에는 이웃 상주와 더불어 누에고치 생산이 중점을 이루었다.

포도는 6·25 전쟁 이후 1954년 김천시 평화동 이상섭이 안양포도원에서 포도 묘목을 구입, 후생주택 부지 2,975.22㎡[900평]에 심었던 것이 시효가 되었다. 그 다음해부터 김천시 다수동 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재배가 이루어져 농가 소득이 높아졌고, 1970년대 후반, 잠업 침체로 뽕밭이 사라지고 동시에 전전환(田轉換) 사업으로 논을 밭으로 전환하기 시작하고, 포도 식재를 행정에서 적극 권장하기도 하여 포도 재배 면적이 급격히 늘어났다.

1980년대 아직 하우스 재배가 시작되기 전에는 포도 단경기 생산을 목적으로 조기 수확을 위해 박피, 에스렐(Ethrel)[과실의 성숙을 촉진시키는 식물 호르몬] 처리 등으로 전국에서 제일 먼저 포도가 출하되고 소득도 높아져 당시 금릉군으로도 면적이 확대되었고, 후반기에 이웃 영동, 상주 등에도 대대적으로 보급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중반에는 김천이 전국 제1의 포도 생산지로 발전하여 5,800여 농가에서 2,500㏊를 재배하여 4만 5000톤을 생산하고, 연간 900억 원대의 소득을 올리는 등 전국 포도 생산량의 13%를 차지하게 되었다.

주요 재배 품종으로는 켐밸얼리가 75%, 거봉이 20% 정도를 차지한다, 요즘은 단경기를 목표로 시설 하우스 면적이 급격히 늘어 350㏊가 넘어서 고소득 작목으로 각광을 받기도 한다. 그 다음 만생종 포도인 새단이 김천시 남면을 중심으로 3% 정도 차지하고, 대립계 고급 포도인 거봉계 포도도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점차 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거봉계 포도는 제1회 전국 포도 농업인 대회 품평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직지농협이 주관하여 일본으로 사상 처음 50M/T의 물량이 수출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천 포도의 지형적 특성을 살펴보면 김천은 토양에 게르마늄 함량이 높아 포도의 저장성이 좋고 당도가 높으며 농민의 재배 기술 향상으로 전국에서 가장 먼저 노지 포도를 생산하며 직지천감천의 맑은 물이 흘러 토양 오염이 없는 사질양토로 천혜의 자연적 환경이 좋아 맛포도로서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추풍령을 기점으로 일교차가 심하여 맛과 향기가 뛰어난 포도가 생산되며 재배 면적의 95% 이상이 비가림 시설을 하므로 농약 살포를 줄여 안정 식품으로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아울러 재배상의 문제점으로는 켐벨얼리 단일 품종으로 편중 재배되어 홍수 출하되며 환상 박피로 인해 조기 출하하므로 신맛 포도를 만들어 내어 김천 포도의 명예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또 선별 미비 및 내용물의 솎박이로 인해 제값 받기가 어렵고 재배 농민들이 작목반 또는 포도 협의회 회원으로 결속이 어려워 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점도 단점으로 작용된다.

[김천 포도의 재배 현황]

1997년 『월간조선』 10월호에 김천 포도가 소개되는 내용 중에 “김천이 국내에서 가장 발달된 포도 농사 선진 지구라는 단정은 사실과 부합된다. 최대 집산지답게 늘상 한걸음 빠르게 앞서가는 기술과 시설을 바탕으로 질 좋은 포도를 생산해 포도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지경이니 말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김천은 조기 생산을 목적으로 가지 비닐 토시 씌우기, 박피 재배 등을 실시, 완숙되기 전에 출하하므로 신맛 포도를 생산하여 김천 포도의 명예를 실추시켜 왔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포도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는 김천시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김천포도회 및 뜻있는 유명 인사들도 가담, 김천 포도의 전국 최고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전 한국포도회장 김성순 옹, 으뜸전국시설포도회장 조우현, 김천포도회장이며 전국포도부회장인 편재관 등이 포도 품질 향상을 위해 꾸준히 연구하고 있어 명실상부 김천이 전국 포도 제1의 주산지로 군림하고 있다.

품종 개량도 품질 향상에 한몫을 한다. 먼저 근간에는 삽목묘로 재식된 포도원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종묘 생산 판매 상인들도 가급적 선발된 묘목을 만들고자 하여 품종 개량에 힘써왔고 근래에는 포도뿌리혹벌레에 저항성이 있는 대목을 식재, 접목묘 재배를 시도하는 농가도 급격히 늘어가는 형편이다. 특히, 이런 품종 개체 쪽에서 본다면 앞으로 시장성은 씨가 없고 알이 굵은 고당도 포도 품종 선택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지역에 적응되는 알이 굵고 좋은 포도가 켐벨얼리 품종대신 대체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품종이 거봉계인 자옥 품종이다.

노지 포도보다는 고소득이 되고 안정 재배를 할 수 있는 시설 포도도 더 확대되고 있다. 1970년 이후부터 시설 포도 재배가 확대되어 지금은 전체 면적 2,100㏊ 중 약 350㏊가 시설 포도 재배 면적이다. 그러나 시설비가 너무 많이 들고 가온 시 유류대 등 생산비가 적지 않게 들어가므로 농가 부담이 많아 가급적 무가온 형태의 시설을 재배하고 있다. 농가에 알맞은 적정 경영 규모를 재배하고 고품질 과일을 생산하는 기술 투입 및 생산비 절감 방안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일례로 반사 필름 및 축열 물주머니 설치, 이산화탄소 발생기 및 점적관수(點滴灌水)[호스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물방울을 똑똑 떨어지게 하거나 천천히 흘러나오도록 하여 원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소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관수 방법], 지베렐린(gibberellin)[주요 작용은 씨 없는 포도 생산] 처리 등이 있다.

점적관수를 설치하는 것이 포도 뿌리를 건전하게 보전할 수 있고 포도 생육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나 현재 1,800㏊ 정도 점적관수 시설이 되어 있다. 점적관수는 개화 전후에 수분을 공급하므로 꽃떨이 현상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고, 나무 수세를 안정시켜 착색이 양호하도록 하는가 하면 알이 굵고 좋은 포도를 생산하게 하며 조기 수확에도 일익을 담당한다.

고품질 포도 생산에서 가장 투자비가 적게 들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은 비가림 재배 및 봉지 씌우기이다. 현재 김천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간이식 비가림은 1988년도 당시 김천시 농촌지도소에서 시범 사업을 거쳐 지역 특수 사업으로 보급을 했는데, 전국에서 가장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가진 비가림 시설로 자리매김을 했다. 아울러 김천, 당시 금릉 및 영동, 상주 등 많은 곳에서 기술을 이양해 갔으며 전국 각지에서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 간이식 비가림 방법은 덕이 낮고 다소 조잡해서 잎이 엽소되는 경향이 있어 최근에는 비용이 다소 많이 드나 개량형 비가림 보급 시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포도에서 수확기 강우로 인하여 탄저병, 열과를 막는데 많은 이점이 있고 아울러 농약을 수차례 줄여 줄 수 있어 포도 농사에서 비가림은 필수적인 요건이 된 백색 비닐 농업 혁명이기도 하다.

김천 포도는 면적 확대와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재배에 참여하게 되자 퇴구비[축분과 볏짚 등을 썩혀서 만든 퇴비] 또는 유기 농법보다는 화학 비료 위주로 농사가 바뀌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부터 다시 화학비료 사용량이 줄어들어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포도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김천 포도의 재배적 특징]

김천 포도의 재배적 특징으로는 비가림 재배와 가지 비닐 씌우기[아대] 재배, 박피, 포도미니하우스 등이 있다. 물론 시설하우스에 대립 무핵 포도를 생산하여 일본에 수출한 대성과도 큰 특징이기도 하지만 이 세 가지만 보면, 첫 번째 비가림 재배는 생육기 및 성숙기에 강우로 인한 병 발생을 방지하므로 안정 생산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일문자[T자형] 재배 방법에서 열매에 비를 맞지 않도록 비닐을 씌운다. 씌우는 시기는 여러 가지이나 김천 지역은 팥알 만할 때 설치하여 수확이 끝나면 벗긴다. 효과는 열과 및 만부병(晩腐病) 방제를 하므로 품질을 향상시키고 농약 살포 횟수를 줄여 농약 오염과를 줄일 수 있다.

두 번째는 아대 재배이다. 싹 트기 전 전정 가지 위에 비닐 토시를 씌워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봄철에 김천을 지나다 보면 포도밭에 꽃이 하얗게 피는데, 이것은 진짜 꽃이 아니라 비닐을 씌워서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보통 해에 따라 다르지만 재배 면적의 1/2~2/3까지 씌워 4월 하순에 비닐을 벗기는데 4월 하순경 늦서리가 내릴 수 있으므로 미리 환기 구멍을 뚫어 순화시키고 비닐을 벗겨 줘야 할 때가 있다.

셋째는 김천 포도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박피이다. 박피는 농업에서 잘 이용하면 여러 가지 쓸모가 있게 되지만 김천에서 일부 농가는 조기 수확하여 출하하기 때문에 ‘김천 포도 신맛 포도’라는 유행어가 생기기도 했다. 박피는 켐벨얼리에서 꽃이 지고 한 달경 쯤에 실시하는데 정확히는 경핵기 때 실시한다. 보통 폭을 6㎜쯤으로 껍질을 도려낸다. 이렇게 하므로 10~15일 정도 조기 착색이 가능 하다. 박피 후 신맛인 타타르산과 말산이 과일 내에서 빨리 떨어지지 않으므로 맛없는 포도가 생산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박피를 하더라도 충분히 당도가 오른 후 수확을 하면 맛좋은 포도가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