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637
한자 臘日
영어음역 Nabil
영어의미역 Hunting Day
이칭/별칭 가평,청사,대사,납,새 잡아먹는 날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집필자 이석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음력 연말 무렵

[정의]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연말에 새를 잡아 조상에게 제사를 드리는 풍습.

[개설]

납일(臘日)은 동지로부터 세 번째의 미일(未日)[양의 날]이다. 이를 가평(嘉平), 청사(淸祀), 대사(大蜡), 납(臘), 새 잡아먹는 날 등이라고도 한다. 납일 때가 되면 대개 음력으로 연말 무렵이 된다. 납은 ‘접(接)’과 같은 뜻으로 신년과 구년이 교접하는 즈음에 대제(大祭)를 올려 그 공에 보답하는 것이다. 또 ‘엽(獵)’과도 통하는 것으로 사냥에서 얻은 날짐승·길짐승으로 선조에게 제사함을 뜻한다. 납일이 되면 나라에서는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올렸고 민간에서도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연원 및 변천]

납일의 ‘납’자는 사냥한다는 뜻의 ‘엽’자에서 유래된 글자로 이날 사냥하는 풍속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납일에 제사를 지낼 때에는 산돼지와 산토끼의 고기를 썼다. 그래서 서울 근교의 경기도 산악 지대에서는 사냥꾼으로 하여금 산돼지와 산토끼를 잡게 하고 잡은 고기를 진상하였다고 한다. 『경도잡지(京都雜志)』에는 “경기도 산간에 있는 군에서는 전부터 이날에 쓸 돼지를 공물로 바치는데 군민을 풀어 산돼지를 찾아 사냥하므로 상감[정조(正祖)]께서 특히 이를 파허고, 장용영(將勇營)의 장교들로 하여금 포수들을 데리고 용문산과 축령산으로 가서 잡아다가 바치도록 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절차]

김천시 대덕면부항면 일대에서는 ‘새 잡아먹는 날’이라 하여 1970년대 말까지 납일 풍습이 남아 있었다. 김천시 부항면 해인리 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 추진위원장 이윤호는 어릴 때 섣달 그믐날 밤이 되면 초가집 처마 밑을 뒤져 새를 잡았고, 그러다가 구렁이에게 물렸다는 경험담을 들려주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납일이 되면 나라에서는 종묘와 사직에, 백성들은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는데 이를 납향(臘享)이라고 했다. 농촌에서는 납일 밤에 새를 잡는 풍속이 있었는데, 이는 납일에 잡은 새고기는 맛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아이가 먹으면 병에 걸리지 않고 침을 흘리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새는 여름 동안은 풀을 뜯어먹고 또 벌레를 잡아먹으므로 고기 맛이 없으나 가을부터는 곡식만 주워 먹으니 납일 무렵이면 제일 맛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때는 “참새가 소 등에 올라가서 네 고기 열 점과 내 고기 한 점을 바꾸지 않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또 납일에 내린 눈은 약으로 썼는데 눈을 곱게 받아 깨끗한 독 안에 담아 두었다가 그 녹은 물로 눈병이 있는 사람의 눈을 씻으면 낫는다고 하며, 김장독에 넣으면 김장 맛이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