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모심기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686
영어음역 Mosimgi Norae
영어의미역 Song of Rice Transplantation
이칭/별칭 「모내기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향천1리
집필자 김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1990년 초반
관련 사항 1991년연표보기
채록지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향천1리
성격 민요|노동요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가창자/시연자 김숙희|조복렬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향천1리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

[개설]

「모심기 소리」는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모내기 소리」라고도 한다. 모내기는 동작이 느린 작업이므로 노래 또한 이러한 모내기의 속도에 맞추어 느린 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심기 소리」는 선후창의 형태로 불리는데 먼저 한 사람이 선창을 하고 나머지 여러 사람들이 후창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1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금릉민속지』의 550~551쪽에 실려 있다. 이는 김택규가 1990년 초반에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향천1리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숙희·조복렬 등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모심기 소리」는 경상도 지역의 대표적인 토리인 메나리토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후창으로 불려지고, 선후창 양식을 통해 하층민들의 삶의 애환이 담겨져 있는 사설이 표현되고 있다.

[내용]

[선창]물길철척 헐어놓고 쥔네양반 어디를 갔나/ [후창]무네전복 손에들고 첩의방에 놀러를 갔네/ [선창]서울이라 유다락에 금비둘기 알을낳네/ [후창]만제보고 쥐어보고 못가져온기 내한일세/ [선창]동해동천 돋은해가 일락서산 가라앉았네/ [후창]방샐방샐 웃는님을 못다보고 해가지네 이랴아 이랴아/ [선창]농청농청 저베루 끝에 시누올케가 빠졌다네 /[후창]난도죽오 후승가서 낭군님부터 챙기나보세.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모심기 소리」는 김천 지역에서 모내기를 할 때 불리는 노래로 모를 심을 때는 많은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하기에 선후창 양식을 통해 모내기의 효율성을 높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황]

농업 기술의 근대화로 의해 최근에는 모심기 또한 기계화되어 예전처럼 많은 사람들이 공동 작업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모심기 소리」 또한 점차 전승이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김천시 대항면 향천1리「모심기 소리」는 경상북도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불리는 사설이 선후창 양식으로 함축성 있게 표현되고 있어, 서정성을 다른 지역보다 높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