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A010101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동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기동

[감문산은 동부리의 고향]

드넓게 펼쳐진 개령들의 중앙에 봉긋 솟아 있는 감문산(甘文山)동부리 주민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생명의 산이다.

오랜 옛날부터 감문산추풍령에서 불어오는 북풍한설을 묵묵히 막아 내고 땔감을 제공해 동부리 주민들에게 매운 겨울을 나게 했으며, 험한 비바람을 가로 막아 개령들의 대풍을 담보해 주는 보루(堡壘)이기도 했다.

또 역사적으로 삼한 시대 소국 감문국동부리를 도읍지로 정한 후 감문산에 쌓은 산성이 백성들의 피난처가 되는 등, 유사 이래 동부리 사람들과는 불가분의 관계를 이어 왔다.

이러한 감문산동부리 주민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서는 계기가 만들어졌으니, 2008년 5월 개통된 감문산 등산로가 그것이다.

[감문산에 오르다]

말쑥하게 리모델링을 마친 개령면사무소로 들어서자 개령중학교와의 경계 지점 뒤편으로 돌계단이 눈에 들어온다.

여기서부터 감문산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시작된다.

등산로가 시작되는 계단 한쪽에는 개령면사무소에서 준비해 놓은 명아주지팡이가 보인다. 이 고장의 후한 인심을 말해 주는 듯 정겨운 모습이다.

잠시 나무계단을 오르자 흡사 맹수가 아가리를 벌린 듯 시커먼 대나무 터널이 펼쳐져 있다. 다소 늦은 오후에 길을 오르려는 이방인의 마음이 자못 흔들린다. 조금 위쪽에서 대나무 길과 소나무 길로 나뉘는 갈림길이 나오는데, 왠지 오른편의 대나무 길로 마음이 쏠린다.

볼품없는 대나무 울타리가 정겨운 대밭을 걷다 보니 경계를 넘어 들어온 불량스런 대나무들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이쯤에서 대나무 밀림에 취해 정신 줄을 놓고 걷다간 이마를 찧기 십상이다. 길 중앙에 시커먼 아카시나무 한 그루가 버티고 섰기 때문이다. 길 정중앙에 나무를 세워 둔 것으로 봐선 고의적인 배려가 분명한데, 세상사 잘 살피며 살아가라는 선의의 훈계인 듯 느껴져 밉지만은 않다.

긴 대나무 숲을 벗어나니 왜가리 다리 모양 쭉쭉 뻗은 솔숲이 나오는데, 느닷없이 이름을 알 수 없는 새 한 마리가 고함을 지르며 날아오른다. 여기서부터는 1m 남짓한 넓이의 오솔길이 능선을 따라 끝없이 이어진다. 소나무에 취해 한참을 오르다 보니 참나무를 잘라 만든 투박한 벤치가 지친 등산객을 반긴다. 다시 힘을 내어 박차를 가하기를 10여 분, 호두산으로 불리는 작은 봉우리에 올랐다.

호두산은 감문산의 두 봉우리 중 하나로, 풍수적으로 호랑이 형상이란 감문산에서 호랑이의 머리에 해당한다는 봉우리이자 저 유명한 「감문산 호두산 전설」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멀리 감천 너머로 이 산의 살상 기운 때문에 주민들이 고통을 겪었다는 아포읍 대신리 한골마을이 다소곳이 앉아 있다. 마른장마가 길어진 탓에 물 없는 감천이 길게 선산을 향해 뻗쳐 있는데, 모내기를 마친 드넓은 개령들이 한 폭의 수채화인 양 싱그럽다.

고개를 들자 금오산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 유독 개령 동부리에서 보는 금오산이 도둑 얼굴처럼 보인다는 얄궂은 이야기가 오늘에서야 비로소 빈말인 줄 알았다. 호두산 정상에서 본 금오산은 잘생긴 꽃미남의 얼굴이었다.

물 한 모금으로 기운을 차린 후 감문산의 또 다른 봉우리인 취적봉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고개를 돌리니 먼발치의 솔가지 사이로 언뜻 기와집이 스치는데, 취적봉에서 관학산으로 연결되는 산자락에 자리 잡은 개령향교계림사다.

계림사는 호랑이 형상의 감문산 지세 때문에 흉사가 자주 일어난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도화상이 호랑이의 심장 자리에 지었다는 천년 고찰이다.

호두산 정상에서 취적봉으로 연결되는 능선은 얕은 내리막길이다. 호랑이와 관련한 전설을 미리 알고 있던 터라 좁다란 능선이 마치 호랑이의 목줄기[목덜미]라도 되는 듯 소름이 돋는다. 순간 어디선가 ‘바시락’ 하는 소리가 들리자 정신이 아찔해진다. 가만히 보니 다람쥐 두 마리가 세월 꽤나 묵은 참나무를 연신 오르락내리락한다. 다 늦은 시간에 산을 찾은 행인의 발소리에 자기들도 놀랐던 모양이다. 그중 한 마리는 통통하고 한 마리는 날씬한데, 몸뚱이보다도 더 긴 꼬리까지 흔들어 대며 눈알을 부라린다. ‘피식’ 한번 웃고는 걸음을 재촉하려는데 거대한 철탑이 길을 막고 섰다. 호랑이 목에 대못을 박아 놓은 듯싶어 공연히 미안하다.

내리막길을 얼마나 타고 갔을까. 갑자기 산이 ‘뚝’ 하고 잘린다. 개령면 동부리에서 어모면 방면으로 넘어가는 이름 없는 고개[주민들은 호랭이모가지고개라고 부름]로, 오랜 세월 숱한 행인들의 애환으로 패였을 고갯길이 마냥 정겹다.

무슨 사연이 있는지 예전의 등산로에 ‘위험’ 테이프를 둘러쳐 놓은 탓에 옆으로 비스듬히 난 길을 따라 우회해야 했다. 그 바람에 시간이 적잖이 더 소요되기는 했지만 얌전한 오솔길과 오롯이 대화하며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

공연히 다람쥐 두 마리의 재롱 탓으로 늦은 핑계를 위안 삼으며 투박거리다 보니 어느덧 해가 뉘엿뉘엿 나뭇가지에 걸렸다. “아이고야!” 하는 소리에 발걸음에 절로 힘이 들어간다. 어디서 힘이 나왔는지 절반은 뛰는 듯 오르막을 성큼성큼 오르다 보니 순간 시야가 확 터지는데, 왼편으로 흡사 저수지 제방을 쌓은 듯 긴 방죽이 눈에 들어온다. 감문산성이다.

[감문산성에서 세상을 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감문산성이 김천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토성으로, 감문국 때 축조된 산성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비록 역사에 조예가 없는 문외한일지라도 첫눈에 성의 윤곽을 감지할 수 있다. 2천 년 가까운 풍상을 꿋꿋이 버티고 선 위용이 자못 근엄하기까지 하다.

저 옛날 감문국 백성들이 피땀으로 켜켜이 쌓았을 토성 위를 걸으며 한참 분위기를 잡는데 문득 눈앞에 낯익은 나무들이 스친다. 감나무와 산죽(山竹)이다. 짐작하건데 감나무는 산성에 주둔하던 배곯은 병사들이 간식용으로 가져다 심은 감나무가 끈질긴 생명력으로 대(代)를 이어 왔을 것이며, 산죽은 화살을 조달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이다.

조상들의 지혜로움에 고개를 연신 끄덕이며 조금 더 오르자니, 별안간 오솔길 중간에 사발을 엎은 듯 언덕 하나가 불쑥 솟아 있다. 봉수대였다.

1757년(영조 33) 간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감문산 취적봉에 봉수대가 있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감문산 봉수는 관아 북쪽 5리에 있는데 선산의 남산 봉수를 받아서 김산 소산봉수에 신호를 보내며 10리 거리이다.”라고 적고 있다.

취적봉이란 이름은 ‘불 취(吹)’ 자에 ‘피리 적(笛)’ 자로, 감문국에 변고가 생기면 봉수대에서 파수꾼이 피리를 불었다 하여 붙은 지명이다.

과연, 봉수대에 올라서니 개령과 어모, 아포, 감문을 지나 멀리 선산 일대까지 사방이 손금 보듯 적나라하게 펼쳐진다.

속이 다 시원하다. 반쯤 노을이 걸린 여름날의 개령 풍경이 고즈넉하게 저물어 가는 속에서, 조사자는 2천 년을 거슬러 감문국의 이름 없는 병사가 된 듯 한참을 그렇게 서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