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독립운동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884
한자 獨立運動家
영어음역 Jeong Hwanji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근대/근대
집필자 송호상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김천 출신이거나 김천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강화도 조약 이후 일제의 침략이 미국 등 열강들의 후원 속에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에 맞선 우리 민족의 독립 운동 또한 격렬하게 전개되어 갔다. 위정척사 계열의 유생들은 상소 운동과 의병 항쟁으로, 개화 지식인들은 실력 양성을 위한 계몽 운동을 전개하면서 일제 침략에 맞섰다.

이명균, 김상준, 김원배, 최용수, 김수길, 최상원, 김교훈, 이병구, 박갑천, 김일조, 최무길, 이승욱, 박만준, 최경연, 김타관, 문학이, 석기만, 최익길[최학길], 김재위, 김봉안, 박내영, 이석균, 도말영, 유철야, 김태연[김단야], 권태석, 박태안, 황도석, 한명수, 장삼조, 이경균, 임춘일, 신현식, 김임천, 최응수, 이군명, 임경갑 등이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다.

[의병 항쟁 관련 인물]

김천 지역에서의 의병 항쟁은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자극받은 유생 여영조가 통문을 돌려 창의하려 하였으나 호응하는 자들이 없었다. 이후 1896년 2월 금릉향교에서 창의하여 경상도 서북부 지역의 선산·김산·개령 등지의 양반 유생들의 연합의진으로서 김산의진(金山義陣)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조직, 군비, 전략을 채 갖추기도 전에 관군의 출동으로 괴멸되고 말았다.

이후 여영조·허위 등이 김천 직지사에서 재차 기의하였으나 부족한 전투력과 이민(吏民)의 배척 등으로 실패하였다. 남겨진 의병들은 황간으로 이동하여 청(淸)에 청병(請兵)하고 의병을 다시 소집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을미의병 해산 후 많은 유생들이 광범위하게 상경, 의병의 공로를 인정받아 관직에 나아가기도 하였고 일부는 서울에서의 활동 가운데 사상의 변화를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후 을사조약에 반발하여 의병 활동이 다시 재기되었다. 전기 김산의병에 참가하였던 인사들 가운데 허위·여중룡·이강년 등은 의병 부대를 조직한 뒤 상호 연결하는 연합 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여중룡이 이전에 옥중에서 얻은 병으로 쓰러짐에 따라 의병진이 무너졌다. 허위는 경기도에서 이강년은 문경에서 창의하였다.

1907년 이후 김천 지역에서의 의병 활동은 김천 주변 지역인 전라도·경상도에서 활동하던 박봉래·유종환·임수안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지례·거창·무주 등 산악 지대를 이용하여 게릴라적인 유격전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지례군 조마면 출신 박기양은 의병 100여 명을 거느리고 일본군 수비대와 전투를 벌이기도 하였다.

[충의사 관련 인물]

김천 지역 출신들인 허위·여중룡·이건석·우용택 등은 1904년 충의사(忠義社)를 조직하였다. 충의사는 ‘황실(皇室)의 강녕(康寧), 민명(民命)의 보호, 군제의 초련(抄鍊), 인재의 교육’ 등에 힘을 써 자강지책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둔 비밀결사였다. 이 가운데 여영조는 1905년에는 나인영·오기호 등과 을사오적을 처단하려 시도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일본 헌병에게 고문을 당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시 이건석은 을사늑약을 성토하는 상소문을 올렸다가 옥중에서 죽음 보다 국권을 되찾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병사하였다.

[국채 보상 운동 관련 인물]

1907년 대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국채 보상 운동이 김천 지역에서도 전개되었다. 이병재(李秉宰)·김안서(金安瑞) 등은 국채보상회를 조직하고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생계조차 어려운 노파에서부터 영세상인 등의 동참이 이어졌으며, 김천상업회의소 회원과 부인들도 적극 참여하였다. 김천 봉계리의 정씨 문중은 문중 차원의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령군의 유생 김기섭·심재택·허섭 등은 단연회를 조직하고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지례면에서도 국채보상회가 조직되었으며, 남면 증산리 주민들도 모금 활동에 동참하였다.

[3·1 운동 관련 인물]

이러한 민족 운동은 일제의 완전한 식민지가 된 이후에도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10년대 일제의 무단 정치에 따른 억눌린 독립의 의지가 3·1운동으로 표출되었다. 김천 지역의 3·1운동의 주도 인물은 다른 경상북도 지역에 비해 유림들의 역할보다는 학생·기독교계 인물들·농민 등이 주도하였다. 학생 가운데는 평양이나 서울·대구에서의 만세 시위를 경험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지역 인사들과 함께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시위가 확산되지 못한 한계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기독교계 인물들로서는 김천 송천교회황금동교회 인물들이 대부분이었다. 김충한·김수길·최용수·김정수·김교훈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그 밖의 지역인 개령면이나 증산면 시위에서는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기도 하였다. 머슴이나 승려가 주도하였던 경우였다. 증산면에서는 쌍계사 승려였던 이봉정 등이 주도하였다. 가장 활발하였던 지역인 개령면 동부동에서는 네 차례나 시위가 전개되었으며, 첫 번째 시위를 주도한 인물이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의 거물인 김단야(金丹冶)이었다. 같은 시기 전개된 ‘파리장서’에 참여한 김천 출신의 유림으로는 이명균이석균을 들 수 있다.

[군자금 모금 활동 관련 인물]

3·1운동에 가담하였던 이명균, 이응수 등은 김천군 구성면에서 상해 임시정부 등 해외 독립 운동 단체에 대한 후원을 목적으로 조선독립후원 의용단(朝鮮獨立後援 義勇團)을 결성하였다. 이응수는 을사늑약 반대 상소로 옥사한 이건석의 아들이다.

[청년운동 관련 인물]

1920년대 김천 지역에서도 청년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고덕환 등이 중심이 되어 만든 금릉청년회가 대표적인 단체이다. 이후 사회주의 영향 하에 만들어진 단체로서 독서구락부와 김천형평청년회 등이 있다. 이는 황태성·홍보용·임종업 등이 주도한 것이다.

[신간회 관련 인물]

이러한 김천 지역 단체들이 연합하여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신간회 김천지회가 성립되었다. 기존의 서울청년회계와 화요회계 간의 심각한 반목과 파쟁을 타개하기 위해 기존의 사상 단체를 해체하고 신간회 원조를 위한 단일 청년 동맹의 결성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

초기에는 여환옥, 심상문 등 민족주의계가 주도하였으나 이후 황태성·임종업·홍보용 등 사회주의자들이 주도하였다. 지회의 회원은 100명 내외였으며 지역의 사회운동 단체를 주도하던 인물들이었다. 이로 인해 신간회 지회는 지역 내의 사회운동단체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김천청년동맹은 “신간회를 적극 지지하고 각 층의 투쟁 역량을 유일 전선에 총집중해야”한다는 결의를 채택하였다. 신간회지회는 간사회 또는 집행위원회, 정기대회를 통해 지역 내 부문 운동을 대중적 정치 투쟁으로 전환시키고 이를 전 민족적 단일 협동 전선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의 특수한 사안이나 역점 사업도 토의하였다. 김천지회에서는 금릉학원을 지지 격려하는 문제를 논의하기도 하였으며. 한글강습회와 의약대 감하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신간회 활동은 1928년 7월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산청년회 조직을 체포하면서부터 약화되었다. 김천에서는 황태성과 홍보용이 체포되었다. 이를 통해 일제는 신간회 활동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강화하였다. 그런 가운데 1930년 7월 이른바 ‘경북공산당사건’으로 신간회 지회들은 치명적 타격을 입고 활동이 정지되는 상태가 되었다. 이후 신간회 해소로 입장이 정리되는 가운데 김천 지역의 사회주의자들은 대중 중심의 전위 조직을 결성하고자 하였다.

[사회주의 운동 관련 인물]

신간회 활동을 주도하던 임종업·나정운 등 사회주의 계열들은 1931년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한 비밀결사인 김천그룹을 조직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일제의 탄압 속에 와해되었다가 김천그룹재건협의회로 이어졌다. 이병일·임종업·황태성 등이 주도한 이 단체는 독서회, 야학회 등의 운영을 통해 조직 활동을 전개하였으나 1935년 일제 경찰에 의해 주도 인물이 체포되면서 실패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