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세 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680
한자 身世-
영어음역 Sinse Taryeong
영어의미역 Song of Hard Luck
이칭/별칭 유희요,「어사용」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1리
집필자 김기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1993년 9월 15일연표보기
관련 사항 1995년연표보기
채록지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1리 송문 지도보기
성격 민요|유희요
토리 메나리토리
기능 구분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가창자/시연자 이영자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1리 송문에서 서민들이 부르는 푸념조 노래.

[개설]

「신세 타령」은 멀리 떠난 임을 그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어사용」과 유사한 가락으로 읊조리는 가창 유희요이다. 가창자인 이영자는 어렸을 때 마을 어른한테 듣고 배웠으며, 41세에 혼자되어 쓸쓸할 때 불렀던 노래라고 증언하고 있다. 이 점으로 볼 때 「신세 타령」은 김천 지역에서 전승되던 「어사용」이 여성 창자의 노래로 변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채록/수집 상황]

1995년 MBC문화방송에서 간행한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민요해설집의 252쪽에 실려 있는데, 이는 MBC문화방송국 제작자들이 1993년 9월 15일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1리 송문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이영자에게서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신세 타령」은 여성 창자가 독창으로 부르며, 임을 잃은 자신의 쓸쓸한 모습을 풀어내고 있다. 이 노래의 가락은 전통적인 메나리조 가락을 차용하고 있으며, 「어사용」의 정조가 그대로 묻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용]

지리지리 지리산에 가옥 가옥 가마귀야/ 우리낭군 다려다가 어느 산천에 전쟁하고/ 수십년이 지나가도 소식이 돈절하네/ 고대광실 높은 집에 만장같이 넓은 방에/ 홀로 앉아 생각하니 쓸쓸하고 가이 없다/ 동지 섣달 긴긴 밤에/ 누웠으니 잠이오나 앉았으니 임이 오나/ 임도 잠도 아니 오고 에이 할 일없이 밤새웠네.

[현황]

「어사용」은 다른 이름으로 「나무꾼 신세 타령」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신세 타령」「어사용」을 차용하여 개인적으로 전승하고 있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신세 타령」은 남성 창자의 전유물인 「어사용」이 여성 창자의 노래로 전이된 특색 있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ㅇ* 왕의 자리는 높고 고상하네
차디 찬 골이라도 빛을 내네
높다란 그 자리 서 있으면
빛 광자 울리는데 오호라 죽여분다
분다 불어 바람 불어 바람 불어
추운 언덕 쉬이 온다 온단다
2014.11.3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