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815
한자 佛像
영어음역 Bulsang
영어의미역 Buddha imag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김봉숙

[정의]

통일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불교의 예배 대상을 조성한 조각상.

[개설]

불상(佛像)이란 불교의 교리에 의한 예배 대상을 석재나 금속 또는 흙이나 나무 등의 시각 매체를 통하여 조성한 조각상을 말한다. 엄격한 의미로는 붓다, 즉 여래(如來)의 존상만을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보살상(菩薩像)·천부신장상(天部神將像)·명왕상(明王像)·나한상(羅漢像) 등 불교의 모든 예배의 대상을 포함한다. 이들은 재질에 따라 석불·마애불·금동불·철불·소조불·목불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김천 지역의 불상을 시대별, 지역별, 지정 문화재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대별 불상]

통일 신라 시대 불상으로는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감문면], 동부리 마애지장보살 석불좌상[개령면], 김천 갈항사지 석조석가여래좌상[남면], 김천 옥계리 석불입상[어모면],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증산면],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증산면] 등이 있다.

고려 시대 불상으로는 금릉 신안동 석불입상[조마면], 김천 미륵암 석조미륵불입상[남면], 직지사 동해사 석조여래입상[대항면], 직지사 석조나한좌상[대항면],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대항면],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입상[봉산면], 금릉 태화리 석조보살입상[봉산면], 금릉 옥율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어모면], 금릉 은기리 마애반가보살상[어모면] 등이 있다.

조선 시대 불상으로는 계림사 석조석가여래좌상[개령면], 직지사 비로전 삼존불상[대항면] 등이 있다. 시대 미상 불상으로는 김천 국사리 석불좌상[아포읍], 김천 송죽리 석불입상[구성면], 김천 입석리 석불상[농소면] 등이 있다.

[지역별 불상]

지역별로 분포하는 21구(軀)의 불상을 살펴보면, 아포읍·감문면·구성면·농소면·조마면은 각 1구, 개령면·봉산면·증산면은 각 2구, 남면·어모면은 각 3구, 대항면은 4구 등이 있다.

아포읍에는 김천 국사리 석불좌상이 있다. 감문면에는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이 있다. 구성면에는 김천 송죽리 석불입상이 있다. 농소면에는 김천 입석리 석불상이 있다. 조마면에는 금릉 신안동 석불입상이 있다. 개령면에는 김천 동부리 마애석불좌상과 계림사 석조석가여래좌상이 있다. 봉산면에는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입상금릉 태화리 석조보살입상이 있다.

증산면에는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있다. 남면에는 김천 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 김천 미륵암 석조미륵불입상이 있다. 어모면에는 김천 옥계리 석불입상, 김천 옥율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김천 은기리 마애반가보살상이 있다. 대항면에는 직지사 동해사 석조여래입상,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직지사 비로전 삼존불상이 있다.

[지정 문화재별 불상]

지정 문화재로는 보물 5구, 유형 문화재 3구, 문화재 자료 4구로 총 12구가 있다.

보물로는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제679호, 감문면], 김천 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제245호, 남면], 김천 지지사 석조여래좌상[제319호, 대항면],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제307호, 증산면],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제296호, 증산면] 등이 있다.

유형 문화재로는 직지사 석조나한좌상[제296호, 대항면],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입상[제250호, 봉산면], 금릉 은기리 마애반가보살상[제247호, 어모면] 등이 있다.

문화재 자료로는 금릉 신안동 석불입상[제191호, 조마면], 김천 미륵암 석조미륵불입상[제420호, 남면], 금릉 태화리 석조보살입상[제289호, 봉산면], 김천 옥율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제311호, 어모면]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