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1913 |
---|---|
한자 | 金泉鳳谷寺冥府殿木造地藏三尊像-十王像 |
영어공식명칭 | The Stone Sakyamuni Buddha Statues of Daeungjeon Hall of Bonggoksa Temple, Gimcheon |
영어음역 | Gimcheon Bonggoksa Myeongbujeon Mokjojijangsamjonsang Mit Siwangsang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88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봉숙 |
제작 | 1690년![]() |
---|---|
문화재 지정 | 2008년 4월 28일![]() |
현 소장처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881
![]() |
성격 | 불상 |
재질 | 나무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5호 |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봉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형태]
김천 봉곡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은 지장보살좌상(地藏菩薩坐像)을 중심으로 좌우에 시립(侍立)한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의 지장보살 삼존상(三尊像) 및 의자상(倚子像)인 10구의 시왕(十王)과 입상(立像)인 녹사(綠事) 2구, 판관(判官) 2구, 인왕(仁王) 2구 등 도합 19구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좌상은 최근에 금칠을 다시 입혔고 시왕상과 그 권속(眷屬)들도 전면적으로 다시 색칠한 것으로 보인다. 지장보살좌상은 승려 머리에 엄지와 중지를 마주한 손 모양을 하고 있다. 도명존자는 입상의 젊은 승려 모습으로 합장을 하고 있다. 무독귀왕은 관(冠)을 쓰고 홀(笏)을 들었다.
[특징]
『봉곡사중수사적(鳳谷寺重修事蹟)』에 의하면 1690년에 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명부전을 중건하면서 새롭게 제작하여 봉안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17세기 중·후반에 성행한 조선 후기의 지장계 불상으로 현존하는 지장 삼존상 가운데 연대가 오래된 작품에 속한다. 19구 일괄하여 2008년 4월 28일 유형문화재 제405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