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702026
한자 白雲齋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운정길 94-25[운정리 13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강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71년연표보기 - 백운재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0년대 - 백운재 기와 교체
현 소재지 백운재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운정길 94-25[운정리 134]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완산전씨 밀양 무안문중
관리자 완산전씨 밀양 무안문중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운정리에 있는 완산전씨 입향조의 재실.

[개설]

백운재(白雲齋)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운정리(雲汀里)에 완산전씨(完山全氏) 입향조인 전봉규(全俸珪)[1825~1899]의 유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증손자 전영식이 주동하여 1971년 건립한 재실이다. 전봉규는 고려 말 공민왕 때 완산군에 수봉된 전집(全潗)의 15세손으로, 요절한 아버지 전덕부[1785~1818]가 거주한 밀양 부북면 운전리(雲田里)에서 무안 운정리로 이거하였다. 현손 전영식[1902~1982]은 아버지 전영희가 이루지 못한 유지를 받들어 집안 사람들과 의논하여 무안 입향조 재실을 건립하였다.

재실 이름 ‘백운(白雲)’은 중국 양무제 때 사상가 도홍경(陶弘景)의 시 ‘농상다백운(隴上多白雲)’에서 유래하는데, 전봉규가 자란 운전과 운정 두 마을을 함께 아우른다. 재실 내벽에 유정 김필호(金弼鎬)가 1974년 지은 「백운재기」를 걸어 놓았다. 그리고 고방과 제기고를 좌우로 둔 정문 이름은 ‘율수문(聿修門)’이고 밀양문화원장을 지낸 고당 유민목(柳敏睦)의 글씨이다.

[위치]

백운재밀양시 무안면 운정리 134번지에 있다. 운정리 본동 마을회관에서 북쪽으로 200m쯤 올라가면 왼쪽으로 난 골목길 막다른 지점에 재실이 있다.

[변천]

백운재는 1971년 건립되고 20여 년이 지난 1990년대에 기와를 새로 교체하였다.

[형태]

백운재는 팔작지붕의 목조 건물 1동과 고방과 제기고를 겸한 외삼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면은 5칸, 측면은 2칸이다.

[현황]

백운재는 마을에 거주하는 후손들이 잘 보호하여 건물 상태가 양호하다. 최근에는 재실 관리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당 앞쪽에 샤워실을 설치하였다.

[의의와 평가]

백운재는 완산전씨의 밀양시 무안면 운정리 입촌 내력과 밀양 지역 내 전씨의 분포지를 파악할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