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00749 |
---|---|
한자 | 晉陽鄭氏 |
영어의미역 | Jinyang Jeong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태성 |
[정의]
정예를 시조로 하고 정두환과 정도환을 입향조로 하는 창원시 세거 성씨.
[연원]
진양 정씨는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 각기 시조를 달리하는 8파[진양 8정]가 있다. 원조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신라 6촌장(村長) 중 자산(觜山) 진지촌(珍支村)의 촌장인 낙랑후(樂浪侯) 지백호(智伯虎)라는 설이 있다. 그리고 후대에 진양정씨의 본관·분파가 이루어졌다고 하나 믿을 만한 문헌은 없다. 이른바 8정(鄭)을 편의상 크게 나눠 충장공파(忠莊公派) 정예(鄭藝), 은열공파(殷烈公派) 정자우(鄭子友), 공대공파(恭戴公派) 정장(鄭莊), 우곡공파(隅谷公派) 정헌(鄭櫶) 등 4계통(系統)으로 대별하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진양 정씨는 대체로 고려 때 평장사를 지낸 정예(鄭藝)를 시조로 삼는다. 이후 진양 정씨로 조선 전기에 이름을 날린 교은(郊隱) 정이오(鄭以吾)와 아들 충장공 정분(鄭苯)을 모신 곳이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에 있는 구암 서원(龜巖書院)이다.
[입향 경위]
진양 정씨의 창원 입향조는 묵와(黙窩) 정두환(鄭斗煥)과 고창(古傖) 정도환(鄭道煥)이다. 이들은 옛 창원 지역인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으로 이거하였고, 이후 창원시 의창구 북면 명촌과 동읍 봉곡 등에도 진양정씨가 이거하였다. 오진영(吳震泳)이 쓴 『구암재기(龜巖齋記)』에는 구암재의 연원에 대하여 “구암재는 교은 문정공 정이오와 애일당(愛日堂) 충장공 정분 부자의 서원이 있던 곳이다. 후손이 재실을 지어 서원의 이름을 짓고 추모하고 강학하는 곳으로 삼았다. ……[중략]…… 대개 정공 부자는 태조 개국에 찬성이었고 문종 때 고명대신(顧命大臣)이었다. ……[중략]…… 문정공은 일찍이 창원의 월영대에 유람하며 감상하였고, 충장공도 삼남(三南) 지역을 두루 유람하였다. 구암은 월영대의 상류이다. 창원은 삼남 중의 한 고을이다. 후손이 대대로 구암에 두루 살아 이곳에 서원을 짓고 정자를 지어 두 공의 영령을 모시고 돌보며 제사를 받드는 예를 행하였다.”라고 하여 창원으로 입향한 경위와 그 내력을 기록하였다.
[현황]
진양 정씨는 창원시 의창구 동읍 봉곡리에 20여 호 정도 살고 있으며 의창구 북면 명촌리에도 20여 호가 기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