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학이 만든 성불사 석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2240
한자 鶴-成佛寺石佛
이칭/별칭 성불사의 암각불,성불사 유래,성불사 암각 불상 유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강영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1년 7월 26일 -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김선군 등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5월 15일 - 『천안의 구비 문학』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6년 10월 5일 -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
관련 지명 성불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전설
주요 등장 인물
모티프 유형 사찰의 연기 설화|석불의 유래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에 전해 오는 성불사와 석불에 대한 이야기.

[개설]

「학이 만든 성불사 석불」천안시 동남구 안서동에 위치한 성불사의 연기 설화이다. 백학들이 암벽을 쪼아 암각 석불을 만들다가 나무꾼이 알아차리자 완성하지 못하고 날아간 곳에 성불사를 지었다고 전한다. 절의 이름을 성불사(成不寺)라 하였는데, 후일 성불사(成佛寺)로 바뀌었다.

[채록/수집 상황]

「학이 만든 성불사 석불」은 1991년 상명 대학교 구비 문학 연구회에서 김선군[84세, 남,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등에게 3편을 채록하여 1994년 『천안의 구비 설화』와 1996년 『구비 문학 대관』에 수록하였다.

[내용]

고려 시대에 하늘에서 내려온 백학 한 쌍이 태조산(太祖山)[약 250m] 인근을 날며 배회하다가 태조산 중턱에 있는 암벽을 보았다. 백학들은 암벽으로 내려앉아 부리로 쪼아 불상을 조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백학들이 불상을 조각하고 있는데 나무꾼의 인기척이 있었다. 백학들은 불상을 조각하는 일을 멈추고 날아가 성거산(聖居山)만일사(晩日寺) 자리로 가서 멈췄다고 한다. 불상은 다 완성되지 못하고 마애 석불 입상이 암각 형태로 남아서 이룰 ‘성(成)’, 아니 ‘불(不)’로 절 이름을 지었다가 나중에 성불사(成佛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지금도 성불사 대웅전의 주세불(主世佛)[법당에서 가장 으뜸인 부처]은 ‘학이 쪼다 만 불상’으로서 대웅전 주벽의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친견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모티프 분석]

「학이 만든 성불사 석불」은 사찰의 연기 설화로서 날짐승이 쪼아 만들었다는 신이성과 금기로 인해 미처 완성하지 못했다는 제한성이 섞여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