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1리 송문에서 서민들이 부르는 푸념조 노래. 「신세 타령」은 멀리 떠난 임을 그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어사용」과 유사한 가락으로 읊조리는 가창 유희요이다. 가창자인 이영자는 어렸을 때 마을 어른한테 듣고 배웠으며, 41세에 혼자되어 쓸쓸할 때 불렀던 노래라고 증언하고 있다. 이 점으로 볼 때 「신세 타령」은 김천 지역에서 전승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2리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흥을 돋울 때 부르는 유희요. 「치나칭칭나네」는 많은 사람들이 놀이를 할 때 여러 사람의 흥을 돋우기 위하여 부르는 경상도의 대표적인 노래로서 지역에 따라 「칭칭이」, 「쾌지나칭칭나네」, 「치야칭칭나네」, 「치이나칭칭나네」, 「캐지나칭칭나네」 등 많은 별칭이 존재한다. 또한 여러 사람이 함께 하는 작업...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탄동마을에서 반석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탄동 반석의 꿈」은 풍수지리적으로 꿈을 해몽한 결과에 따라 터를 잡았으므로 자손이 번성하였다는 입향 시조 정씨와 임씨의 풍수담이자 인물담이다. 1983년 김천시에서 발행한 『내고장 우리향토』에 「탄동 반석」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1999년 김천시에서 간행한 『김천시사』...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2리에서 후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노래. 「후처 장가가는 노래」는 열여덟 살에 후처(後妻)에게 장가를 가고자 하였으나 신부가 그만 죽어버려 가지 못하게 된 신랑의 이야기를 사설 속에 담고 있는 유희요이다. 1991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발행한 『금릉민속지』의 557쪽에 실려 있다. 이는 김택규가 1990년 초반에 경상북...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감로사에 있는 와불. 감로사 와불은 1995년 절을 짓기 위해 터를 닦던 중 땅 속에서 발견한 300톤에 달하는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2009년 말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였으며 6개월 만에 완성하여 2010년 6월 13일 점안 법회를 열었다. 와불은 두 다리를 가지런히 뻗고 옆으로 누운 자세로 부처만이 취하는 자세이다. 예배용...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에 있는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농어촌 지역에 공업 및 서비스 산업을 유치하여 농어촌 소득원의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농어촌 소득을 증대하고 농어촌 소득 구조를 고도화하여 농어촌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추진된 공업 단지”이다[「농어촌소득원 개발촉진법」 제1조]. 농어촌 지역의 인구 10만 이하의 시와 군 지역을 대상으로 3...
-
경상북도 김천시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개령군 곡송면의 곡송·신풍·태성·완동·장기·대조·월류·소재, 개령군 북면의 삼봉·오성·가척·성촌·광동·명천·상보·하보·대양이 김천군 곡송면으로 통합되었다. 1934년 4월 1일 김천군 위량면의 나가·금보·구야·고도·상여·송문·성북·상군·하군·적하·부곡·본리·남곡이 곡송면과 통합되어 김천군 감문면으로 개편되었고, 1949년 8...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에 있는 감문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김천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아포읍], 14개 면[농소면·남면·개령면·어모면·봉산면·대항면·감천면·감문면·조마면·구성면·지례면·부항면·대덕면·증산면], 6개 동[자산동·평화남산동·양금동·대신동·대곡동·지좌동] 중 감문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감문면사무소는 경상북도...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지혜로운 감문인 육성을 위하여, 미래를 지향하는 질 높은 교육 과정 운영, 꿈을 키우는 다양한 창의력 교육 전개, 학교 교육력을 높이는 교단 중심 지원 행정 구현을 달성하고자 한다. 교훈은 ‘자율·성실·창조’이다. 1953년 2월 18일에 9개 학급으로 감문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4월 23...
-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하고 이우배(李禹培)와 이영배(李英培)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경주이씨의 원 시조는 신라 초 군무를 총괄하던 아찬 이알평(李謁平)이고, 중시조는 신라 후기 이거명(李居明)이다. 신라 개국 초부터 경주를 중심으로 고위 문무반을 배출해 온 경주이씨 가문은 31세 때 이르러 이우배와 이영배 형제가 조선 숙종...
-
정풍국(鄭豊國)을 시조로 하고 정붕(鄭鵬)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경주정씨의 원 시조는 신라 건국 초기 6촌(村)의 한 부장인 지백호(智伯虎)로서 정씨 성은 뒤에 사성(賜姓)된 것이다. 30세(世)에 이르러 정풍국이 경주를 본관으로 삼았으며, 32세에 이르러 후손들이 영일과 동래로 본관을 나누었다. 김천 지역의 경주정씨는 조선 개국공신으...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에 있는 삼국 시대 성터. 고소산성은 속문산성과 함께 신라 초기에 축성되었다. 문무동 마을 사람들은 속문산성을 숫성, 고소산성을 암성이라고 부른다. 옛날 장수 부부가 있어 숫성은 남편 장수가, 암성은 아내 장수가 하루아침에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고소산[성산]은 감문면 문무리와 어모면 구례리 사이에 있는 해발 3...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태촌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재미있게 공부하는 어린이,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새롭게 궁리하는 어린이, 굳센 의지를 가진 어린이로 길러 더불어 살아가는 정직하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함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1929년 6월 13일 곡송국민학교 설립을 인가 받아 1929년 9월 2일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에...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 개령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탄동(炭洞)·가척(加尺)·장내(牆內)가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광덕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광덕동으로 개칭되었다. 1971년 가척이 광덕1동, 탄동·장내가 광덕2동으로 분동되었고, 1988년 동...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는 김천역에서 동북 방향으로 직선거리로 1.5㎞ 떨어져 있으며, 감문면 소재지로부터는 동쪽 2㎞ 내외의 거리에 있다. 광덕리 내에서 확인된 고인돌 4기는 광덕리 서반부의 외현천 유역에 분포하는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단독으로 위치해 있다. 고인돌[1]은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북편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에 있는 수령 약 180년, 480년, 380년의 보호수. 광덕리 느티나무는 높이는 각각 16m, 15m, 16m이고 가슴높이 둘레 4.34m, 8.3m, 4.74m이다. 느티나무는 각 마을마다 정자나무나 서낭나무로 심어 보호하였으며, 오래된 나무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어린잎은 봄에 떡을 만들 때 넣어...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에 있는 저수지. 광덕저수지는 김천시 감문면 광덕1리 문수산 아래 위치하고 있는 1종 저수지이다. 1959년 저수지 확장 공사 때 보물 679호인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이 발굴되어 저수지 아래 안치했다. 과거 신라 고찰 문수사가 있었다고 하며 일제 강점기에 금동 불상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하나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은 없다....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덕, 장시, 버지, 칭지, 뒷골, 새암골, 방아다리, 새보, 왕치 등 마을 주위로 아홉 개의 들판이 있어 구야(九野)라 하였다. 마을 뒤 구봉산 밑에 아홉 가지의 큰 과일나무가 있는데 마을에 흉년이 들 때마다 많은 과실이 열려 주민들의 배고픔을 잊게 해 주었다 하여 구래실(九來實)이라고도 한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금곡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느티나무. 금곡리 느티나무는 높이 17m, 가슴높이 둘레 6m이다. 느티나무는 각 마을마다 정자나무나 서낭나무로 심어 보호하였으며, 오래된 나무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어린잎은 봄에 떡을 만들 때 넣어 쪄서 먹고, 목재는 결이 곱고 단단하여 건축·기구·조각·악기·선박 등의 재료...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풍수지리상 가마솥 형국이어서 ‘가마솥 부(釜)’자를 써서 부곡동(釜谷洞)이라 하였다가, 마을 선비들이 가마솥은 물이 차면 넘치게 되어 부자가 나오지 않는다 하여 ‘부(釜)’자의 양쪽 혹을 떼어 내고 재물을 상징하는 ‘쇠 금(金)’자를 만들어 금곡동(金谷洞)으로 고치었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적하·부...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금보동(金寶洞)의 ‘금’자와 나가동(羅伽洞)의 ‘나’자를 따서 금라동(金羅洞)이라 하였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나가동·금보동이 통합되어 김천군 위량면 금라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금...
-
김알지(金閼智)를 시조로 하고 김이환(金爾環)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김녕김씨의 시조는 김알지이며 본관을 김해(金海)로 써오다가 조선 헌종 때 경순왕(敬順王)의 8대손인 김시흥(金時興)의 후손들이 본관을 김녕(金寧)으로 고쳤다. 김시흥은 고려 인종 때 동북병마사로 있었으며, 삼별초의 난을 진입하는 데 공을 세워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진...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에 있는 고려 전기 석조 보살 입상.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은 김천시 감문면의 일명 ‘숫골’이라고 부르는 마을 저수지 뚝 밑에 세워져 있는 보살상으로 화강암을 다듬어서 관음보살을 표현하였다.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79호로 지정되었다. 기존에 금릉 광덕동 석조보살입상으로 불렸다. 김천 광덕리 석조보살입상은 높이...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운산 남쪽 골짜기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남곡(南谷)이라 하였다. 1592년(선조 25) 경주 정씨 입향조인 정금오(鄭琴五)가 지금의 상주시 공성면 남실(南室)에서 임진왜란을 피해 옮겨 와 정착한 이래 고향의 지명을 따서 남실이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김천군 위량면 남...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남곡리에 있는 수령 약 180년의 보호수. 남곡리 느티나무는 높이 15m, 가슴높이 둘레 2.9m이다. 느티나무는 각 마을마다 정자나무나 서낭나무로 심어 보호하였으며, 오래된 나무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어린잎은 봄에 떡을 만들 때 넣어 쪄서 먹고, 목재는 결이 곱고 단단하여 건축·기구·조각·악기·선박 등의 재...
-
조선 시대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일대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다질촌부곡(多叱村部曲)의 위치는 개령현 관아[현 개령면 동부리]를 기준으로 북쪽 15리이다. 다질촌부곡에는 주로 문(文)·구(仇)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29권 경상도(慶尙道) 개령현(開寧縣)에 “다질촌부곡은 현의 북쪽 15리에 있다.”라고 기록...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대양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대양교회는 ‘주님의 일에 더욱 힘쓰는 교회’를 슬로건으로 하여 감문면 지역 포교를 위해 설립되었다. 대양교회의 역사는 김천지역 최초의 개신교 교회인 아포읍송천교회 신자인 이씨 부인이 개령면 오송동으로 시집와 1900년대 초 자신의 집에서 마을 신자들을 모아 예배를 보면서 시작되었다. 1...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전 마을 서쪽 매봉산[280m] 안골에 신라 시대에 창건한 고찰인 대양사(大陽寺)가 있어 붙인 이름이다. 조선 말 개령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대양동(大陽洞)·천동(泉洞)이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대양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대양...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광덕산 남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덕남동(德南洞)이라 하였다. 조선 말 개령군 곡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신풍·시술[일명 곡송]이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덕남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덕남동으로 개칭되었다. 1971년 신풍이 덕남...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부터 신라(新羅)와 문무국(文武國)의 경계를 이루었던 마을로, 마을 뒤로 신라군의 오래된 순찰로가 있어 이 길을 따라 군사들이 돌면서 경계를 섰다 하여 도명(道明)이라 하였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김천군 위량면 도명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상표. 맛지기.com은 2003년에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 감문농협에서 자체 개발한 농산물 브랜드이다. 맛지기.com의 ‘맛지기’는 ‘우리 농산물의 맛을 지킨다’ 와 ‘맛이 좋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com’은 전문 농업인의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합성하였다. 또한 브랜드 디자인에 있어서 우리 농산물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한 시대 소국인 문무국(文武國)이 있었다 하여 문무동이라 하였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상여(上余)·하여(下余)·장전(長田)[일명 긴밭사래]이 통합되어 김천군 위량면 문무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문무동으로 개칭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군. 문무리 고분군은 감천의 지천인 감문천 최상류의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 상여마을과 하여마을 주위에 분포하고 있는데, 김천역에서 북으로 13㎞ 정도 떨어져 있다. 문무리 고분군은 두 마을을 둘러싼 대부분의 능선부와 사면 하위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문무리 고분군의 서쪽 산에는 고소산성(姑蘇山城), 동쪽 산에는...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 주민들이 음력 1월 2일에 공동으로 올리는 마을 제사.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는 삼한시대 변한계 소국 감문국의 지배를 받은 문무국(文武國)이 있었다는 역사가 깊은 마을로 감문국·사벌국·주조마국·어모국 등 주변 소국들과의 전쟁을 겪으면서 나라의 안위와 주민들의 화합을 기원하는 나라제사가 뒤에 동제의 형태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보고 있...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와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의 경계에 있는 산. 백운산(白雲山)은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 송문마을에서 서북서 쪽으로 약 2.2㎞, 상주시 공성면 산현리 보현마을에서 남동남 쪽으로 약 2.6㎞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정상부의 높이는 629.8m이다. 백운산의 산줄기는 백두대간의 용문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뻗은 작은 지맥이 여남고개를 지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에서 기우제를 지내기 위해 의례를 행하는 제의 장소. 백운산 기우제단은 감문면 송북리에서 가뭄이 계속될 때 비를 내려 달라고 하늘에 제를 올리던 기우제 터이다. 이를 ‘속문산 기우제’라고도 한다. 예부터 가뭄이 계속되면 특정한 장소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는 기우제를 지내는 것이 관례였다. 장소는 항상 물이 마르지 않는 소(沼)나 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상보(上寶)·하보(下寶)를 통합하면서 ‘보배 보(寶)’자를 따고 마을이 빛나게 발전하라는 염원을 담아서 ‘빛날 광(光)’자를 써서 보광(寶光)이라 하였다. 일설에는 마을 뒷산 탑골에 조선 정종 때 세워진 보광사가 있어 붙인 이름이라고도 한다. 조선 말 개령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상보·하보가...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 보광마을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군. 보광리 고분군은 김천역에서 서북쪽으로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감천의 지천인 외현천(外現川) 상류 지역에 해당한다. 고분군은 2개의 군으로 나누어져 분포하는데, 배후의 보광산[232m]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부에 제1군이, 동남쪽으로 내려와 구릉을 이루는 부분에 제2군이 위치한다....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보광리 고인돌군은 김천역에서 서북쪽으로 직선거리로 12㎞ 정도 떨어져 있으며, 감천의 지천인 외현천(外現川) 상류 지역에 해당한다. 감문중학교에서 서남서 방향의 지방도를 따라 약 1㎞를 가면 보광마을 나오는데, 이 마을에서 남서 400m 지점의 논둑에 고인돌 2기가 남북으로 4m 정도 이격된 상태로...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 마을 주민들이 음력 1월 2일에 공동으로 올리는 마을 제사. 김천시 감문면 보광리는 청주 한씨, 해주 오씨, 전주 이씨의 집성촌으로서 옛날 마을 뒤 송림산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해 호환(虎患)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 호랑이의 주인인 산신령을 달래기 위해 송림산 바위골에 제단을 만들어 국사당이라 칭하고 매년 1월 2일 소를 도살해 산신...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에 있는 다리. 삼성리에 있는 다리이므로 붙인 이름이다. 삼성교는 허용 통행 하중 43.2톤, 길이 25m이며 경간 수는 2개, 교각 수는 1개이다. 다리 폭은 9m, 차로는 2개 차로로 상행·하행 각 1개 차로이다. 상부 구조인 주경간 형식은 RA형[라멘교: 구조가 통으로 연결], 하부 구조인 교각과 교대 형식은 벽식으...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오성·둔들마[일명 던돌마]·삼봉(三峰)·외삼봉을 통합하면서 세 개의 큰 마을이 크게 번성하라는 뜻에서 삼성동(三盛洞)이라 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말 개령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오성·둔들마·삼봉·외삼봉이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삼성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군. 삼성리 고분군은 감문소국(甘文小國)의 고지(故地)로 알려져 있는 개령면 중심지에 위치한 삼국 시대 주고분군 외곽의 하위 고분군에 해당한다. 현재 봉토분의 분포 양상, 내부 구조의 장축 방향, 판석조 벽체 그리고 산포 유물로 미루어 5~6세기 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김천 지역 내에서는 중규모에 해당하...
-
조선 시대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일대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29권 경상도(慶尙道) 개령현(開寧縣)에 “하활곡부곡(下活谷部曲)·상오지부곡(上烏知部曲)·금물도부곡(今勿刀部曲)은 지금은 모두 폐지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제49권 제계고 10 부록 씨족 4조에는 “상오지 홍씨(上烏知洪氏...
-
신라 시대 김천의 감문국을 격파한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내해이사금으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조분왕의 딸 명원부인(命元夫人)이다. 아들은 흘해이사금이다. 아들 흘해는 풍채가 빼어나고, 어리지만 노성한 덕이 있어 기림이사금이 세상을 떠나자 군신들의 추대를 받아 신라 제16대 왕이 되었다. 석우로(昔于老)는 231년 이찬으로 대장군에...
-
이능일(李能一)을 시조로 하고 이여량(李汝良)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성산이씨는 성주(星州)를 본관으로 하는 6개 문중 가운데 하나다.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가 성주 이씨 이인임(李仁任)으로 잘못 알려진 것을 바로 잡은 후 성주 이씨와 구별하기 위해 성주의 별호인 성산(星山)으로 본관을 바꾸었다. 성산이씨의 시조는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장 중심이 되는 마을인 북성(北星)의 ‘성(星)’자를 따서 성촌(星村)이라 하였다. 조선 말 개령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북성·명천(明泉)·명창(命昌)이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성촌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성촌동으로 개칭되었다....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성촌리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보호수. 성촌리 느티나무는 높이 17m, 가슴높이 둘레 4.86m이다. 느티나무는 각 마을마다 정자나무나 서낭나무로 심어 보호하였으며, 오래된 나무는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 주는 상징으로 여겨 왔다. 어린잎은 봄에 떡을 만들 때 넣어 쪄서 먹고, 목재는 결이 곱고 단단하여 건축·기구·조각·악기·선박 등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금라리 봉화산 정상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 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 29, 김산군(金山郡) 봉수조(烽燧條)에 “남쪽은 지례현의 구산(龜山)에, 서쪽은 충청도 황간현 눌이항산(訥伊項山)에 응한다. 소산(所山) 봉수 군의 북쪽 29리에 있다. 동쪽은 개령현 감문산(甘文山)에, 북쪽은 상주 회룡산(回龍山)에 응한다[所山烽...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 백운산[옛날에는 속문산이라 일컬어졌음]에 있는 삼국 시대 성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 29, 김산군(金山郡) 성곽조(城郭條)에 “속문산성 석축주위이천사백오십오척 고칠척 내유이천이지 유군창(俗門山城 石築周圍二千四百五十五尺 高七尺 內有二泉二池 有軍倉)”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삼국 시대에 속문산성은 어모현에 속했다....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송문(松門)의 ‘송(松)’자와 성북(城北)의 ‘북(北)’자를 따서 송북(松北)이라 하였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송문·성북이 통합되어 김천군 위량면 송북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면 관할이 되었고, 1949년 금릉군 감문면 송북동...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송북리 고인돌은 김천역에서 북동쪽으로 직선거리로 약 15.2㎞ 떨어져 있다. 송북리 고인돌이 위치한 곳은 감천의 지류인 외현천 상류의 북 지류이자 감문면의 북단 오지에 해당하는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 성북마을 입구 길가이다. 1979년에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는 성북마을 동쪽 20m 지점의 상엿집 뒷담에...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에 있는 선사 시대의 선돌. 선돌은 선사 시대의 거석 기념물로서 자연석 또는 가공한 기둥 모양의 돌을 땅 위에 세운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 수가 적은 편이지만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있다. 송북동 성북곡 선돌은 언제 누가 세웠는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선돌은 대부분이 단독으로 마을 어귀 평지나 낮은 구릉 위...
-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하고 민광수(閔光洙)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여흥민씨의 시조는 공자의 10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민자건(閔子騫)의 후손인 민칭도로 고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하여 오늘날의 경기도 여주에 해당하는 여흥에 정착한 인물로 후손들이 여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민지(閔漬)를 중시조로 하는 문인공파(文仁公派)와 대제학 민...
-
엄림의(嚴林義)를 시조로 하고 엄두구(嚴斗耈)와 엄환(嚴環)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영월엄씨는 중국 당나라 사신으로 왔던 엄임의가 본국에 정변이 일어나자 귀국하지 않고 지금의 영월인 내성군(柰城郡)에 정착함으로써 엄씨의 기원이 되었다. 고려 때 나라에서 엄림의를 내성군(柰城君)으로 추봉하고 후손들에게 영월을 식읍으로 하사하자 후손들이 영...
-
육보(陸寶)를 시조로 하고 육사방(陸士方)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옥천육씨의 시조인 육보는 중국 절강성 사람으로 신라 경순왕 때 당나라 사신으로 왔다가 경순왕의 부마가 되면서 귀화하여 관성군[옛 옥천]에 봉해진 인물로서 그 후손들이 옥천에 정착해 살면서 옥천을 본관으로 삼았다. 김천 지역의 옥천육씨는 3세(世) 육거원(陸巨遠)...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송북리 백운산에서 발원하여 감문면 태촌리에서 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천은 본류와 다수의 지류로 구성되어 있고 각 지류는 그 크기에 비례하는 하곡을 흐르며 하천은 모두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하계망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발원지에서 시작하는 지류는 1차 하천, 1차 하천이 둘 모이면 2차 하천, 2차 하천이 둘 모이면 3차 하천, 3차 하천이 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금라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활은 실천하는 어린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창의적으로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어린이를 길러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지닌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데 교육 목표를 두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부지런한 어린이가 되자’이다. 1932년 9월 8일에 위량공립보통학교로 개...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풍수지리상 마을의 앞을 가리지 않으면 마을에 우환이 있을 것이라 하여 느티나무를 심어 숲을 조성하고 ‘숨을 은(隱)’자와 ‘수풀 림(林)’자를 써서 은림동(隱林洞)이라 하였다. 조선 말 김산군 위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상군동·하군동·본동이 통합되어 김천군 위량면 은림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은림리 상군마을 주민들이 음력 1월 2일에 공동으로 올리는 마을 제사. 김천시 감문면 은림리 상군마을은 김천 최대의 여흥 민씨의 집성촌으로서 예부터 전통적인 가풍과 마을 공동체 의식이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상군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월 2일 자정에 마을의 평안과 풍년 농사를 염원하는 산신제를 올린다. 상군마을의 신당은 마을...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강양(江陽). 자는 여앙. 연안군(延安君) 이숙기의 7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윤서이다. 아들 이영진(李榮鎭)도 김천 지역에서 효자로 이름이 났다. 이구(李坵)[1598~1664]는 1627년(인조5)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 연구에만 전념하였으며 천품이 총명하며 지기가 고결하고 고상하였다,...
-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명필가. 본관은 성산(星山). 할아버지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굴욕적인 항복을 한 후, 두문불출하여 절의를 지킨 이상규(李相規)[1596~1645]이다. 이성동(李星東)[1662~1702]은 지금의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에서 태어났다. 벼슬은 통사랑에 이르렀으며, 문장뿐 아니라 명필로도 널리 알려졌다. 특히 서도에 능하여 개령객사(開寧客舍)에 ‘감...
-
조선 시대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양(江陽). 자는 화중(華重), 호는 설곡(雪谷). 아버지는 이구(李坵)이다. 이영진(李榮鎭)(1629〜1698)은 지금의 김천시 감문면 광덕리 탄동마을에서 태어났으며, 천성이 효성스러웠다. 아버지의 병들어 목숨이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입에 넣어 드려 병을 낫게 하였다. 아버지가 작고한 후에는 예제(禮制)에 소홀함이 없이...
-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본관에 대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해주(海州)라고 기재되어 있다. 자는 운정(雲程), 호는 신당(新堂), 별칭은 정청송(鄭靑松). 할아버지는 정지운(鄭智耘)이고, 아버지는 정철견(鄭鐵堅)[휘는 성벽(成璧)]이다. 정철견은 조행이 탁월하여 성종 때에 함창현감(咸昌縣監)으로 징배(徵拜)되었다. 청송군수를 지내 정청...
-
조선 전기 김천 출신의 선비. 본관은 해주(海州). 호는 만은(晩隱). 증조할아버지는 고려대장군 정초(鄭初·鄭礎)이다. 『해주정씨족보』의 별보는 정초로부터 11세손까지를 수록한 것이다. 이 계열은 흔히 해주 정씨 영남파로 불리는 가계로 정초의 증손 정유공(鄭由恭)의 세 아들 정철견(鄭鐵堅)[붕(鵬) 계열], 정은견(鄭銀堅)[난(鸞) 계열] 정석견(鄭錫堅)[부(鳧) 계열]이 중심을...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부터 마을 뒷산에 있던 산제당이 북극성(北極星)과 이어진다는 속설에 따라 ‘별 태(台)’자와 ‘마을 촌(村)’자를 써서 태촌동(台村洞)이라 하였다. 조선 말 개령군 곡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태성(台星)·완동(完洞)·배시내가 통합되어 김천군 곡송면 태촌동으로 개편되었다. 1934년 곡송면과 위량면을 통합하여 신설된 감문...
-
윤신달(尹莘達)을 시조로 하고 윤석빙(尹碩聘)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파평윤씨의 시조는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공신에 오른 윤신달이다. 윤신달이 파평산(坡平山)에서 태어났다는 전설에 따라 본관을 파평이라 했다고 한다. 김천 지역의 파평윤씨는 7세(世) 윤돈신(尹焞信)의 후손이다. 15세 윤곤(尹坤)이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이조판서에 오...
-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고 신작(申焯)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세거 성씨. 평산신씨는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운 신숭겸을 시조로 한다. 태조 왕건은 신숭겸과 더불어 사냥을 나갔다가 날아가는 기러기를 맞히자 크게 칭찬하며 사냥터 일대 땅 300결을 하사하고 평산[현 황해도 평산군]으로 본관을 삼게 했다. 15세(世) 신개(申槩)는은...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서 정월 대보름날 청소년들이 횃불을 이용하여 겨루는 놀이. 횃불싸움은 청소년들에게 단결심과 용감성, 그리고 투지를 길러 주던 대표적인 집단 놀이이다. 이를 ‘홰싸움’, ‘횃불전투’ 등이라고도 한다. 횃불싸움은 달집태우기·쥐불놀이 등과 함께 정월 대보름에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야간 놀이의 하나이다. 전국적인 민속놀이기는 하지만 특히 영동 지방과 함경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