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1665 |
---|---|
한자 | 乳泉- |
영어음역 | Yucheon Iyagi |
영어의미역 | The Story of Yucheon Spring |
이칭/별칭 | 하늘이 점지한 젖샘,유천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
집필자 | 이균옥 |
수록|간행 | 1983년![]() |
---|---|
수록|간행 | 1999년![]() |
관련 지명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곡3리
![]() |
성격 | 전설|우애담|지명 유래담 |
주요 등장 인물 | 이주룡 |
모티프 유형 | 동생을 위한 지극 정성에 솟아난 샘물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에서 유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유천 이야기」는 형이 지극 정성으로 동생을 돌보며 길렀다는 우애담이자 하늘이 그 정성에 감응하여 상친사(尙親祠) 아래에서 샘물이 솟았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1983년 김천시에서 발행한 『내고장 우리향토』에 「하늘이 점지한 젖샘」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앞부분에는 이주룡(李周龍)의 할아버지인 효자 이세간의 이야기가 첨가되어 있다. 1999년 김천시에서 간행한 『김천시사』와 김천시 문화관광 홈페이지[김천의 문화/지명유래 및 설화]에는 「유천」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데, 내용은 동일하다.
김천시 조마면 신곡3리 상친사 아래에 샘이 있다. 효자 이주룡은 네 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동생을 길렀는데, 배가 고파 몇 날을 울고 보채는 동생을 업고 뜰에 나가 통곡했다. 그러자 지진이 일듯이 땅이 흔들리며 뜰아래에서 샘물이 솟아나 동생에게 먹였더니 울음을 그쳤다. 그 뒤로는 동생이 울면 그 물을 먹여 동생을 키웠다. 그때부터 이 샘물을 유천(乳泉)이라 불렀다.
「유천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동생을 위한 지극 정성에 솟아난 샘물’이다. 「유천 이야기」는 이주룡 형제의 우애담이면서, 동생에게 젖처럼 우물물을 먹여 키웠다는 유천에 대한 우물 유래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