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의 마을 신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800856
한자 -鎭安-信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전라북도 진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996년연표보기 - 『진안의 마을 신앙』 수몰 지역편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96년 - 『진안의 마을 신앙』 수몰 지역편 간행
저술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진안의 마을 신앙』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98년 - 『진안의 마을 신앙』 간행
간행처 진안 문화원 -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중앙로 66[군하리 81-11]지도보기
성격 단행본
저자 송화섭|이상훈
간행자 진안 화원
표제 진안 마을 신앙

[정의]

진안 문화원에서 간행한 전라북도 진안군 일대의 마을 신앙을 기록한 책.

[편찬/간행 경위]

『진안 마을 신앙』은 용담댐 건설로 인한 마을 수몰 이전에 마을 신앙을 기록하기 위해 1996년에 수몰 지역인 상전면·안천면·용담면·정천면·주천면 등지에 대해 송화섭과 이상훈이 공동으로 조사, 집필하였다. 이후 1998년에는 동향면·마령면·백운면·부귀면·성수면·진안읍 등지를 이상훈이 조사, 집필하였다.

[형태]

『진안 마을 신앙』은 1996년에 발행된 1권과 1998년에 발행된 1권으로 총 2권이다. 1996년판은 국판이며 1998년판은 4×6 배판이다.

[구성/내용]

『진안 마을 신앙』1996년 판은 수몰 지역 5개 면[상전면·안천면·용담면·정천면·주천면]에 대해 자연 마을별로 마을 신앙의 유형을 서술하였다.

면, 리 별로 마을 단위의 풍수지리와 풍수신앙의 구조를 정리하였다. 마을 제의로 산신제·당산제·길산제·고목제·서낭제·용신제·팥죽제·단군제·황단제·기우제 등과 세시 풍속으로 영등제·올벼심리·농신제·전염병 뱅이·디딜방아 훔치기·오장치 등을 기술하였다. 또한 가신 신앙으로 성주신·삼신·조왕신·청륭신 등도 기술하였다.

연구 편은 진안 지역의 산제, 진안 지방의 탑 신앙, 진안 지역 거북 신앙 등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1998년판 『진안 마을 신앙』은 동향면·마령면·백운면·부귀면·성수면·진안읍 등지를 조사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마을 신앙 유형은 수몰 지역과 대동소이하다. 연구 편은 진안 지역 마을 풍수, 진안 지역 기우제, 진안 지역 마을 숲, 진안 지역 선돌 신앙 등으로 구성하였다.

『진안의 마을 신앙』에서 언급한 진안 지역 마을 신앙에 관한 몇 가지 특징을 보면, 첫째 마을 굿의 체계가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마을 뒷산에서 산신제를 지낸 후 마을 앞 당산나무, 돌탑 등에서 당산제[거리제, 팥죽제]를 지내는 산간 지역 마을굿 체계인 이중적 구조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진안 지역에서 없어졌던 당산제를 다시 복원했거나,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진안읍 평촌, 마령면 방화, 성수면 원외궁, 동향면 외금 마을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진안 지역에는 현재에도 많은 돌탑이 분포하는데, 새마을 운동 무렵에 없어졌던 돌탑을 최근에 이르러 주천면 용덕, 정천면 갈거, 원월평, 안천면 노채 등의 마을에서는 다시 세웠다.

둘째, 진안 지역에는 거북 신앙이 많이 남아 있다. 거북 신앙은 보통 세가지 기능을 하는데, 수신(水神)으로서 화재막이 기능[진안읍 종평, 진안읍 은천, 마령면 송내, 용담면 회룡], 복을 가져다주는 기능[진안읍 예리, 주천면 구암], 풍수 비보적(風水裨補的)인 기능[용담면]인데 여느 지역에 비하여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심지어는 요사이 보기가 좋다고 하여 거북 모양 돌을 마을 앞[동향면 봉곡]에 세워 놓는 경우도 있다. 개인적으로 문 앞에 모시는 마을[동향면 내유]도 있다.

셋째, 단군 신앙[주천면 양명], 기자 신앙[안천 인현묘], 황단제[주천 지역 집중 분포]등 민족 주체성을 일깨우는 면과 유교적 신앙이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넷째, 조선 말 천주교 박해를 피해서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공소(公所)를 만들고 교우촌을 형성시킨 마을이 많이 분포한다. 진안 어은동 성당, 한들 성당이 대표적이며 마을 단위로 많은 공소가 지금도 남아 있다. 다섯째, 마을 풍수는 형국론과 관련된 이야기와 스님과 관련된 풍수 설화가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진안의 마을 신앙』은 진안 지역 마을 신앙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특히 1996년판은 용담댐으로 수몰되기 전에 마을 신앙이 조사되어 수몰 지역의 마을 신앙을 남길 수 있다는 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