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중부복합물류터미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818
한자 中部複合物流-
영어공식명칭 Jungbu Integrated Freight Terminal
이칭/별칭 중부물류터미널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연청로 745-46[갈산리 470-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2009년 12월연표보기 - 중부복합물류터미널 준공
개관|개장 시기/일시 2010년 8월 - 중부복합물류터미널 운영 개시
최초 설립지 중부복합물류터미널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갈산리 일원|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응암리 일원
주소 변경 이력 중부복합물류터미널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연청로 745-46[갈산리 470-2]
현 소재지 중부복합물류터미널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연청로 745-46[갈산리 470-2]지도보기
성격 물류 보관 및 배송 창고
면적 480,736㎡[부지면적]
전화 044-277-8091~4
홈페이지 http://www.kift.co.kr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는 물류 터미널.

[개설]

1987년 정부에서는 유통 근대화 방안으로 복합물류터미널 건립안을 확정하였다. 1992년 공영복합화물터미널, 1997년 군포복합물류터미널, 1999년 양산복합물류터미널, 2005년 장성복합물류터미널을 건립하였고, 중부복합물류터미널은 2010년에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중부복합물류터미널 운영은 복합물류터미널 가운데 가장 늦게 개시되었지만 사통발달의 교통 요충지인 세종특별자치시 권역에 있어서 전국 주요 도시들과 3시간 거리 내에 위치, 전국 물류허브 구축에 최적의 위치로 각광받고 있다.

[건립 경위]

경기도 용인 등 수도권 남부 지역에 창고시설이 집중적으로 건설됨에 따라 교통문제와 주민 민원문제 등이 발생,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토해양부는 물류단지가 국가간선도로망과 철도망 인근에 위치하도록 하며, 물류 거점인 복합물류터미널은 도로·철도로 연계하고 물류단지는 도로망으로 연결할 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하여 물류 진입을 위한 도로·철도 건설은 우선적인 재정 지원 대상으로 삼기로 하였다. 충청권의 경우 복합물류기지가 충청북도 청원군과 세종특별자치시에 들어서면서 음성, 제천, 대전, 서산, 홍성, 논산 등이 지역 물류기지로서 네트워크를 이루게 된다.

[구성]

중부복합물류터미널은 480,736㎡[145,000여 평]의 부지에 화물취급장과 배송센터로 구성된 복합물류터미널[100,587㎡]과 CY와 CFS로 구성된 내륙컨테이너기지[67,70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부복합물류터미널은 기존 운영 중에 있는 수도권, 부산권, 호남권과 연계해 복합운송을 통한 거점 간 광역 교통체계를 마련하고 전국을 단일화하는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영남권을 포함해 전국 5대 권역이 완성됨으로써 거점 간 물류 합리화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현황]

중부복합물류터미널은 경부고속도로 청원IC로 진출입이 가능하고 국도 제1호, 제17호, 제36호지방도 제96호와 연결되어 있어 전국 주요 도시로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전국을 단일화하는 배송센터 및 HUB&Spoke 체계 구축이 용이하다. 또 ICD를 통하여 수출입 컨테이너의 적하, 분류, 통관 등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화물의 중계기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렇게 단지 내 IFT와 ICD가 한 곳에 있기 때문에 복합운송 시 2차 운송비가 발생하지 않으며, 인근 평택항 및 청주공항을 통하여 수출입 화물 보관·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항만에서 철도를 이용하여 ICD 내로 운송되어 국내 화물을 즉시 처리할 수 있는 운송체계가 마련되어 있어 수출입 화물에서부터 내수 화물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복합물류(http://www.kift.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