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햅쌀을 올리는 신미고사, 상량일엔 성주고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8A010305
지역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거일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승훈

논과 밭이 부족한 거일리에서 쌀밥은 자주 먹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제사와 같은 매우 특별한 날 또는 부잣집이 아닌 경우에는 쉽게 먹을 수 없었다. 특히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은 논농사를 지을 수 있는 토지가 적었기 때문에 쌀밥을 먹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었다. 그래서 쌀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으며 햅쌀이 나면 햅쌀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신미고사’를 지냈다.

신미고사는 음력 7월 그믐에 지내는데 이때는 벼가 완전히 다 익은 시기는 아니지만 약간 덜 익은 쌀을 쪄서 제사를 지낸다. 집에 논이 있어 벼농사를 지을 경우에는 자신의 논에서 나는 쌀로 제사를 지내지만 집에 논이 없는 사람은 쌀농사를 짓는 사람에게 따로 주문을 하여 쌀을 미리 주문한다. 그러나 쌀을 주문할 때도 아무 논에서 주문하는 것이 아니고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의 집에 초상이 있거나 임산부가 있는 경우 부정이 있다고 생각하며, 부정이 없고 깨끗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의 집에서 쌀을 부탁한다.

음력 7월 그믐이 다가오면 미리 논에 가서 벼를 베어 온다. 벼를 벨 때 논 전체의 벼를 베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 베는데 가장 알이 많이 차고 튼튼한 벼로 베어 온다. 베어온 벼는 알곡을 털어 내지 않고 벼 통째로 찐다. 찐 벼를 방아에 찧어서 신미고사에 쓸 햅쌀을 준비한다. 신미고사는 마을에서 지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내는 것임에도 3일 동안 정성을 들인다. 제를 지내기 3일 전부터 금줄을 치고 외부인의 출입을 삼가며 몸가짐을 바르게 한다. 음력 7월 그믐날 아침이 되면 햅쌀로 밥을 짓고 제사상을 준비하여 햅쌀을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을 감사해 한다. 제를 다 지내고 나면 햅쌀로 지은 밥을 먹으면서 음복을 한다.

9월이 되면 마을회관의 상량일에 맞추어 성주고사를 지낸다. 집의 성주신은 집의 건물을 수호하는 신으로 가택신 중 가장이라고 할 수 있다. 성주신은 집을 지을 때 인간이 불러 모셔오는데 마루나 대들보에 깃들여진다. 보통 집을 지을 때 상량을 올릴 때 상량고사를 지내고 이때 성주신이 깃든다. 집을 지을 때는 터주신이 관장하지만 일단 건물이 세워지면 이 성주신이 자리 잡는다. 성주고사는 상량을 올린 날에 지내는 것으로 각각의 집마다 그 날짜가 다르기 때문에 공동제의가 아닌 가정신앙이다. 그러나 거일2리에서는 마을회관에 대해 성주고사를 지내는데 공동의 공간인 마을회관의 성주에게 지내는 제사이기 때문에 공동제의적인 성격이 강하다. 과거 마을회관은 음력 3월 15일날 상량을 올려 이날 성주고사를 지내왔으나 과거 마을회관을 없애고 그 자리에 현재의 마을회관을 지었는데 음력 9월 25일에 상량을 올려 이날을 성주고사 날짜로 정하고 있다. 성주고사는 제관 선출과 음식장만 등 모든 것이 동고사와 비슷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축문의 내용이 동고사와 다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마을회관 건립현판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마을회관 건립현판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마을회관 건립현판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마을회관 성주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