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부여신간지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447
한자 扶餘新幹支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규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9년 2월연표보기 - 부여신간지회 설립
최초 설립지 부여신간지회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항일단체

[정의]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부여 지역에 있던 신간회 지회.

[설립 목적]

신간회는 1927년 좌익 세력과 우익 세력이 합작하여 결성한 항일 단체이다. 신간회는 조선 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을 통한 조선의 독립을 목표로 하였으며, 부여신간지회는 특히 충청남도 부여 지역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펼쳤다.

[변천]

부여신간지회는 1929년 2월 부여 지역의 청년들이 주도하여 결성하였다. 그러나 창립 이후 활동이 두드러지지 못하였고 오래가지 못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여신간지회는 조선 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을 목표로 하였지만 활동 기간이 길지 못하여 많은 활동을 하지 못하였다.

[구성]

1929년 부여신간지회 임원은 회장 신종훈(辛鍾勳), 부회장 백남기(白南祺), 간사 박영달(朴英達), 문병렬(文秉烈), 김태수(金泰秀), 신기주(辛基冑), 신석갑(辛石甲), 임종한(林鍾翰), 신기팔(辛基八), 신영승(辛泳昇), 신기형(辛基炯), 전용규(田容圭), 이영백(李永白), 이재호(李宰鎬) 등으로 구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여신간지회를 통하여 신간회 활동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