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12
영어공식명칭 Buyeo-Gu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488[노화리 325-5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민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7년 6월 26일연표보기 - 부여군농업기술센터 부여군농사교도소로 설립
개칭 시기/일시 1962년 3월 21일연표보기 - 부여군농사교도소에서 부여군농촌지도소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81년 4월 30일 - 부여군농업기술센터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 212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1993년 12월 21일 - 부여군농업기술센터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 212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노화리 325-1로 이전
개칭 시기/일시 1999년 1월 16일연표보기 - 부여군농촌지도소에서 부여군농업기술센터로 개칭
주소 변경 이력 부여군농촌지도소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 212 지도보기
주소 변경 이력 부여군농촌지도소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노화리 325-1
현 소재지 부여군농촌기술센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흥수로 488[노화리 325-1]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설립자 부여군
전화 041-830-2618
홈페이지 http://www.buyeo.go.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노화리에 있는 농촌 지도 사업 종합 기획 및 조정 기관.

[개설]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부여군 산하 기관으로서, 농업·축산업 등 농촌 사업을 지도·교육하고, 농촌 후계 인력 및 농업인 조직을 육성하고 있으며, 귀농·귀촌인의 정착을 지원하는 등 빠르게 변하는 농촌 환경 변화에 과학 기술로서 대응하고 있다.

[설립 목적]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다양한 농업 전문 기술 보급과 농업 및 농촌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1957년 6월 26일 부여군의 농업 지도를 위하여 설치된 부여군농사교도소로부터 시작되었다. 1962년 3월 21일 「부여군 농촌지도소 설치조례」에 따라 명칭을 부여군농촌지도소로 개칭하였다. 1998년 12월 18일 제63회 부여군의회에서「부여군 행정기구 설치 조례 개정 조례안」이 통과됨에 따라, 1999년 1월 16일 부여군농촌지도소의 명칭을 부여군농업기술센터로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여군 농업기술센터는 농촌 지도 사업 홍보, 농업인 교육 훈련, 농촌 후계 인력 및 농업인 조직체 육성, 귀농 및 귀촌 지원 센터 운영, 농기계 임대, 농작물 병해충 방제 지도, 향토 음식 발굴 육성, 축산·양봉·낙농 등 농촌 사업 육성 지원, 지역 특화 작목 개발, 축산업 등록 업무, 수산 관련 업무, AI 방역 대책, 동물 병원 인허가 업무, 축산물 HACCP 컨설팅 지원, 소브루셀라 및 결핵병 검사 업무, 축산 관련 차량 등록 업무, 축산물 위생 관련 인허가 업무, 동물 생산업 인허가 업무 등을 하고 있다.

[현황]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2023년 현재 3과 12팀으로 운영하고 있다. 농촌지원과에 지도기획팀, 인력육성팀, 농촌자원팀, 귀농귀촌팀이, 기술보급과에 작물보호팀, 스마트채소팀, 과수축산팀, 치유농업팀이, 과학농업과에 생명농업팀, 디지털농업팀, 버섯연구팀, 농업기계팀이 조직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여군농업기술센터는 다양한 농업 전문 기술 보급 및 농촌 후계 인력 양성을 통하여 부여군 농업과 농촌의 활력화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 국가기록원(https://theme.archives.go.kr)
  • 부여군농업기술센터(https://www.buyeo.go.kr)
  • 부여군의회(https://council.buye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