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262
한자 扶餘女子中學校
영어공식명칭 Buyeo Girls’ Middle School
이칭/별칭 부여여중,부여여중교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 34[쌍북리 20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9년 5월 30일연표보기 - 부여여자중학교 설립 인가
이전 시기/일시 1979년 11월 14일 - 부여여자중학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46-10에서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209로 이전
최초 설립지 부여여자중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47[쌍북리 646-10]
주소 변경 이력 부여여자중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 34[쌍북리 209]
현 소재지 부여여자중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월함로 34[쌍북리 209]지도보기
성격 공립 중학교
전화 041-836-0441
홈페이지 http://buyeogirls.cnems.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학교 비전은 ‘행복한 배움! 신나는 학교’이고 교육 지표는 ‘함께 배우고 더불어 성장하는 세계 시민 육성’이다. 교훈은 ‘진실(眞實)·신애(信愛)·협력(協力)’이다.

[변천]

부여여자중학교(扶餘女子中學校)는 1959년 5월 30일 설립 인가되었다. 1979년 11월 14일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46-10에서 현 위치인 부여읍 쌍북리 209로 이전하였다.

[교육 활동]

부여여자중학교는 특색 사업으로 ‘지구를 위한 필(必) 환경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 감수성을 제고하고, 친환경 생활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생활에서의 지속적인 실천 및 생태 감수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녹색 성장 및 에너지 전환 교육 중심의 범교과 통합 교육과 기후 위기 대응 교육을 위한 생태 환경 교육 등으로 진행하고 있다.

환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환경교육포털 ‘환경일기장’ 교재를 통한 교과 연계 환경 수업과 국가해양환경교육센터 해양 환경 교육, 슬기로운 탄소 중립 교육, 생물의 다양성과 기후 변화 영상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외에 환경 독서 주간 운영, 환경 사랑 나눔 장터 운영, 친환경 제품 만들기, 재활용 리폼하기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양수/ 작곡 안일승]

소부리에 보랏빛 먼동이 터 오면/ 서기 어린 구름이 부소산에 감돈다/ 진실한 어진 딸들 여기 서 있네/ 백마강은 흐르고 맑기만 한데/고운 꿈 피어나는 배움의 터전/ 순결의 전통을 이어받는 부여여중// 의로운 삶은 아름다운 열매/ 백제의 꽃이 천추에 풍기고/ 신애와 협력은 우리의 마음씨/ 백마강은 흐르고 맑기만 한데/ 고운 꿈 피어나는 배움의 터전/ 순결의 전통을 이어받는 부여여중

2. 교목은 낙우송이다.

3. 교화는 개나리이다.

[현황]

2022년 5월 현재 총 12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314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29명의 교원과 15명의 직원 등 총 44명이 재직하고 있다. 다목적 강당과 도서실, 진로 상담실, 방송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영어실, 수학실, 과학실, 도덕실, 컴퓨터실, 체력 단련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20일 제64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만 569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 부여여자중학교(http://buyeogirls.cnems.kr)
  • 충청남도부여교육지원청(https://www.cnbye.go.kr)
  • 학교알리미(https://www.school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