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98
한자 姜日
영어공식명칭 Kang Il
이칭/별칭 강성구(姜星求)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1년 3월 25일연표보기 - 강일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6년 6월 - 강일 일본 학교 폐지를 위한 시위 전개
활동 시기/일시 1930년 6월 - 강일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항일 격문을 부여농업보습학교에 살포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강일 비밀 결사 화성당 결성 추진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강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형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74년 1월 21일연표보기 - 강일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강일 대통령 표창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강일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독립유공자 2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강일(姜日)[1911~1974]은 1911년 3월 25일 부여군 장암면에서 태어났다. 1926년 고향에서 일본 학교 폐지를 주장하는 시위를 하다가 체포되었지만 미성년자라 풀려나기도 하였다. 1929년 11월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호응하여 1930년 2월 노명우(盧明愚)·유복윤(柳福允) 등과 함께 항일 격문을 제작하여 부여농업보습학교에 살포하였다. 이로 인하여 또다시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어 전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강일은 장정야학당에서 교사로 활동하며 사회주의를 전파하였다. 1931년 1월 서진(徐震)·유기섭(柳基燮)과 함께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비밀 결사 화성당(火星黨) 결성을 추진하였고, 형평사 부여지부 회원 김동진(金東眞)·박주완(朴周完)과 부여농민조합원 강병무(姜秉武)에게 가입을 권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1931년 1월 규암면 합송리 농민학원에서 결당식을 거행하고자 하였으나 김동진 등이 가입 권유를 거절하는 등 당원 모집이 저조하여 활동을 중단하였다.

강일화성당이 동맹 휴학의 배후로 지목되어 1931년 4월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31년 12월 28일 공주지방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검사가 항소하였고, 1932년 6월 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유기섭과 함께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았다. 1932년 12월 28일 만기 출소한 뒤에는 강병국(姜秉國)·강성모(姜聖模)·최재봉(崔在鳳)·강병욱(姜秉郁)·강병환(姜秉煥)·강주구 등 장정야학 교사들과 함께 칠모회(七眸會)를 조직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보급하고자 하였다. 강일은 ‘강성구(姜星求)’라는 이름으로도 활동하였고, 1974년 1월 21일 사망하였다.

[묘소]

강일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강일의 공적을 기려 197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