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길동 샛뿔 도당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69
한자 新吉洞-都堂祭
영어의미역 Village-Ritual Ceremony of Satppul Village, Singil-dong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지도보기
집필자 김지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신앙|마을제사|산신제
의례시기/일시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 오전 10시
의례장소 마을뒷산
신당/신체 산제 터

[정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샛뿔마을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마을의 공동 제사.

[개설]

신길동 샛뿔 도당제는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 오전 10시에 소나무 숲을 이룬 개인 소유의 마을 뒷산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무병·풍년을 빌기 위하여 올리는 마을 제사이다. 매년 큰 당주와 작은 당주를 정해서 제물을 준비하게 한다. 큰 당주 집에서는 소머리를 삶고 떡을 준비하며, 작은 당주 집에서는 음복할 음식 준비를 한다.

제물상은 할아버지당에는 소머리와 여덟 말들이 떡시루를 시루채 올리고, 할머니당에는 붉은 팥시루떡만 시루채 올릴 뿐 다른 제물은 차리지 않는다. 14년 전부터는 당주를 뽑지 않고 부녀회에서 모든 음식을 준비한다. 특히 샛뿔마을에서는 제의 전날 동네 사람들이 우물을 말끔하게 치우고, 포·떡·술을 차려놓고 우물고사를 먼저 지낸다. 이 물을 떠다가 그 날 조라술을 담근다. 예전에는 온 동네사람들이 사용했던 대동우물이라고 하지만, 현재는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고 우물을 덮어 둔다.

[연원 및 변천]

샛뿔마을은 풍수로 보아 소의 뿔처럼 생겼다 하여 ‘샛뿔[新角]’이라 불렀는데, 일제강점기에 정길섭(丁吉燮)이 이곳에 신흥학교(新興學校)를 설립하면서 새 학문을 익혀 깨달아야 잘 살 수 있다는 의미로 깨달을 ‘각(覺)’자를 써서 ‘샛뿔[新覺]’로 개명했다고 한다. 샛뿔마을은 안산시에 반월공단이 생기기 전까지는 고기잡이를 하던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마을 뒷산에 도당 산지사[산제사] 지내는 곳을 마련해 두고 짚주저리로 도당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을 따로 만들어 두었다. 마을에서 올라가면 도당 할아버지당이 먼저 있고 조금 더 들어가 끝 부분에 할머니당이 있는데, 할아버지당에는 1990년 마을부녀회에서 시멘트로 제단을 만들어 두었다. 도당은 당주 집에서 해마다 새로 만들어 매는 것이며, 할아버지당 아래로는 넓은 공간이 있어 이곳에서 음복을 한다.

[절차]

제의는 당주들이 중심이 되어 먼저 유교식으로 당제를 지내고 난 후 단골 만신이 축원굿을 행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당제는 할아버지당에서 먼저 지낸다. 당주가 대표로 잔을 올리고 동네 노인들과 이장들이 한꺼번에 절을 한다. 곧 축문을 읽고 잔을 올리는 것으로 끝낸다. 이어서 할머니당으로 옮겨가는데, 할머니당에서는 간단히 술 한 잔 올리고 절하고 끝내며 소지도 올리지 않는데, 바로 이어지는 굿에서 만신이 올린다.

만신은 할아버지당에서 먼저 축원을 하고 할머니당에서 축원을 한 후 다시 할아버지당에 자리를 잡는다. 대동축원 후에는 각 가정에서 차려 놓은 개인 제물을 앞에 놓고 축원을 해준다. 개인 제물은 쌀이 주가 되며 각 가정에 대한 축원을 모두 하자면 하루 종일이 걸린다. 그 동안 할아버지당 아래 넓은 자리에서는 동네 사람들이 제물을 나누어 먹으면서 하루를 즐겁게 보낸다.

[현황]

제의 경비는 예전에는 동네 정성이라 당주들이 집집마다 다니면서 쌀을 거두어 마련했으나 지금은 마을기금에서 쓴다. 만신에게 별도의 사례비는 지급하지 않고 다만 부인들이 개인 정성을 드리러 올 때 가지고 온 쌀은 만신의 몫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