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정치인. 강희창은 1913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당시 양상리]에서 출생하였다. 강희창은 안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수암면사무소와 수원읍사무소에서 근무했으며 이장을 역임했다. 1956년 8월 8일 제2대 수암면의회 의원 선거에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내무위원장을 지냈다....
-
경기도 안산 출신의 군자면의회 의원. 김승규는 1908년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에서 출생하였다. 김승규는 농민 출신으로 내세울 만한 학력과 경력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학과 우리 역사에 대해서는 경륜이 깊었을 뿐 아니라, 그의 생활 터전인 농촌에 대한 애정이 매우 깊었다. 1956년 김승규는 제2대 군자면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소속은 자유당이었다. 그는 군자면의 민도를...
-
경기도 안산 출신의 군자면의회 의원. 김영희는 1914년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에서 출생하였다. 김영희는 경성공립농업학교 졸업 후 수원군 안용면 기수(技手)를 거쳐 시흥군 농회기수로 복무하며, 공직 생활을 통하여 농민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진력하였다. 1956년 제2대 군자면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소속은 자유당이었다. 노외기수로 근무했던 경력이 입증하듯이 견실한 농군으로...
-
경기도 안산 출신의 초대 안산시의회 의원.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1935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 341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김선돌(金仙乭)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함덕순(咸德順)이다. 1994년 4월 24일 수암동 181-5 자택에서 향년 5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묘는 안산시 화정동에 있다. 김용권은 온화하고 인자한 성품으로 20여 성상을 오직 지역의 발전과 시민들...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친일파.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친일파 윤길병(尹吉炳)의 형이다. 윤시병(尹始炳)[1860~1931]은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충청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1898년(고종 35) 만민공동회와 독립협회에 가담하여 개화파로 활동하였고, 독립협회가 해산된 후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서울에 진주한 일본군의 통역을 하였다. 이때 송병준(宋秉畯)을 만...
-
개항기 문신이자 친일파. 이하영은 경주이씨(慶州李氏)로 자는 치행(致行), 호는 금산(琴山)이다. 경상도 동래군[현 부산광역시]에서 출생하여 소년기에는 상업에 종사했다. 일본인 상인과 미국선교사 알렌을 통하여 익힌 어학 실력이 출중하여 일찍부터 일본어를 익혔고, 국내에 영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전무할 때 영어를 배워 고종의 통역을 맡게 되었다. 집안이 양반 가문도 아니고...
-
경기도 안산 출신의 정치인. 정규창은 1914년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정규창은 어려서 한학을 공부한 뒤 군자공립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956년 구성된 제2대 군자면의회에서 의원으로 당선되어 활동하였다. 고집이 세기로 유명한 그는 공익을 위해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면민들의 지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생활 개선을 도모하고, 군...
-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인. 홍성복은 1898년(고종 35) 경기도 화성 반월[지금의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홍성복은 여주 신흥학교에서 보통학교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경기도 시흥군 반월면의회 제1대 및 제2대 의장으로 활동하면서 행정 개선과 복지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의회의 운영 체계를 강화하고 질서 확립에 진력하였으며, 행정부를 독려하여 면민...
-
개항기 안산 출신의 정치가.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성숙(聲肅)이며, 호는 우정(羽亭)이다. 남양홍씨 남양군파 32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치섭(洪致燮)이고, 아버지는 홍재원(洪在源)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이다. 외아들로 태어났다. 홍종우(洪鍾宇)[1850~1913]는 몰락한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 경제적으로 빈곤한 생활을 하였으며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전라남도 고금도로...
행정가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법조인.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1896년(고종 33)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서 출생하여 1950년 사망하였다.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김재우(金在雨), 아버지는 김영성(金永聲), 어머니는 여산송씨이다. 조흥은행 상무이사를 지낸 김용각(金溶珏)의 형이다. 김용찬은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경성복심법원 판사, 목포법원 지...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관인. 본관은 진주(晋州)이고, 자는 주명(周鳴), 호는 모산(帽山)·백산(白山)이다. 아버지는 처사(處士) 유방이다. 1851년(철종 2) 출생하였고 1945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 있다. 유원성은 1874년(고종 11)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897년에는 법부주사로서 고종이 원구단에서 고유제를 지낼 때 재랑(齋郞)으로 참여하...
-
경기도 안산 출신의 행정가. 장순봉은 1923년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장순봉은 사립 연서학교와 인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인천공립사립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서기로 6년간 근무한 데 이어서 14년간은 군자면 서기로 재직하였다. 1952년 자유당 소속으로 초대 민선 군자면장에 당선되었고, 이어 1956년에 제2...
-
경기도 안산 출신의 행정가.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인조비(仁祖妃) 인열왕후의 아버지인 서평부원군 한준겸(韓浚謙)의 13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통정대부돈녕부도정(通政大夫敦寧府都正) 한긍우(韓兢愚)이다. 아버지인 학부교관(學部敎官) 한기응(韓基應)의 둘째 아들로 1907년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선영에 있다. 한중현은 안산공립보통학교[지금의 안산...
-
경기도 안산 출신의 행정가.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황학수(黃鶴秀)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노아지(盧阿只)이다. 1928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53번지[시흥대로 65-13]에서 출생하였다. 1995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에 있다. 황천성은 군자초등학교를 거쳐 인천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1964년 문교부 총무과장을 지내고, 이...
기업가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금융인. 본관은 김녕(金寧)이다.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김재우(金在雨), 아버지는 진사 김영성(金永聲), 어머니는 여산송씨이다. 전 서울지검장 김용찬(金溶璨)의 동생이다. 1912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서 출생하여 1984년 사망하였다. 묘는 화정동 너빌마을 쑥개골에 있다. 김용각은 1932년 경성제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7...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기업인. 1911년 당시의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지금의 안산시 단원구]에서 출생하였고 1983년 사망하였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다. 문순모는 1948년 한염해운을 설립하였고, 1950년 최초의 민영 염전회사인 안산염전공업사를 세웠으며, 1959년 인천하역협회 초대회장이 되었다. 1968년 대한염업조합 이사장, 1975년 라이온스클럽 회장...
-
현대의 기업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백옥(伯玉), 호는 창산(昌山)이다. 이찬우(李纘雨)의 아들이며, 삼성(三星) 창업주 이병철(李秉喆)의 형이다. 1905년(?) 출생하여 1971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옛 안산향교 위에 있고, 1974년에 세운 묘비의 비문은 이일해(李一海)가 짓고, 글씨는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이 썼다. 이병각은 하회봉(河晦峰)의...
-
경기도 안산 출신의 기업인.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송보(松甫)이다. 1920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이석돈(李奭敦)이며, 어머니는 강춘선(姜春先)이다. 1982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산22 가족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이정익은 1932년 안산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7년 선린상업학교 졸업 후 1946년 부평에...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자선가. 이찬은 본관이 경주(慶州)로, 한말에서 1920년대 초까지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지역의 재산가로 이름을 떨쳤다. 이찬은 부농(富農)의 아들로 태어나 생존해 있을 당시만 해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일원의 토지는 거의 그의 소유라 할 만큼 대지주였다. 대부분의 농토는 많은 소작인들에 의해 경작되었다. 이찬은 마음이 소박하고 인정이 두터워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