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주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929
한자 鄭周永
영어음역 Jeong Juyeong
이칭/별칭 심계(心溪)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송호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1975년연표보기
활동 1986년연표보기
활동 1988년연표보기
활동 1994년연표보기
몰년 2005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리 봉계마을 지도보기
성격 교수
성별
본관 영일(迎日)
대표 관직|경력 사단법인 숭모회 이사장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출신의 대학 교수.

[활동 사항]

심계(心溪) 정주영(鄭周永)영일 정씨의 집성촌인 김천시 봉산면 신리 봉계마을에서 홍문관교리와 사헌부장령을 지낸 정이교(鄭以僑)의 16세손으로 태어났다. 일본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미국 애리조나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건국대학교를 거쳐 대전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정년 퇴임을 하였다. 한국종교연합협의회장, 성균관 부관장 겸 동양학교화위원장, 사단 법인 숭모전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05년에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정주영은 전통 유교에 대한 현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연구를 하였다. 성균관에서 유교 경전을 강의하는 가운데 유교에 대해 종교적 측면과 과학적 측면을 동시에 인간에게 부여되었음을 자각케 하여 인간으로서의 능력의 틀을 형성하는 학문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또한 사단법인 숭모전의 이사장으로 있으면서 한국의 절의(節義) 정신의 현대사적인 가치관의 정립과 삼은 사상(三隱思想)의 학문적인 연구를 전개하였다.

단행본으로는 『유교의 현대적 의의』[1975], 『단군사상과 유교 국조단군』[1981], 『한국민족사연구』, 『성균관연혁사』, 『고려 삼은사상(三隱思想)에 흐르는 민족사적 역사의식』[1986], 『민족사 정립과 교육정책』[1994]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동양문화의 연원으로서 기설(氣說)의 고찰」[1986], 「한민족의 정통사상과 증산사상」 상[1988], 「한민족의 정통사상과 증산사상」 하[1991], 「고려말 사회경제사상과 정포은」[1992], 「임진왜란의 성격과 한국선비정신의 역사적 고찰」[1992], 「홍익인간사상의 문화사적 의의」[1992], 「한민족의 기층문화를 살핀다」[1993], 「고려말 사회실상과 중흥의 웅도: 신라문인세력의 주도인물, 포은과 그의 가치사관」[1994]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7.26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고려 삼은사상(三隱事想)에 흐르는 민족사적 역사의식』[1986] ->『고려 삼은사상(三隱思想)에 흐르는 민족사적 역사의식』[1986]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