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은선생시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747
한자 陶隱先生詩集
영어음역 Doeunseonsaengsijip
영어의미역 Teacher Doun's Collection of Poems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리 540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남권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15세기[태종]
소장처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리 540 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이숭인
권책 5권 1책
행자 11행 19자
규격 15.3㎝[가로]|27.2㎝[세로]
어미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
판심제 도시(陶詩)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신리 덕원당 고문헌자료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에 간행된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

[개설]

이숭인[1347~1392]의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이다. 고려 공민왕 때 등제하여 숙옹부승(肅雍府丞)을 거쳐 장흥고사(長興庫使)에 올랐다. 김구용(金九容)·정도전(鄭道傳) 등과 실록을 찬수했으며, 한때 사대문서(事大文書)를 지어 문명(文名)이 널리 알려졌다. 고려 후기 김구용·정도전 등과 함께 북원(北元)의 사신을 돌려보낼 것을 청하다가 유배되었고, 그 후 잠시 복직되었다가 정몽주의 무리로 몰려 관직을 삭탈당하고 영남으로 유배되었다. 『도은선생시집(陶隱先生詩集)』의 서문에는 이숭인이 살아 있을 때 『관광집(觀光集)』, 『봉사록(奉使錄)』, 「도은재음호(陶隱齋吟蒿)」 등을 지었다고 하나 전하지는 않는다.

[편찬/간행 경위]

『도은선생시집』은 조선 태종의 명을 받아 변계량(卞季良)이 편찬하고 권근(權近)이 서문을 지었다.

[형태/서지]

5권 1책의 목판본으로, 판심제는 ‘도시(陶詩)’이며, 계선이 없다. 표지가 없고 본문의 판각과 인쇄 상태는 양호하다. 장정법은 선장본, 종이는 저지(楮紙)를 사용하였다. 어미는 부분적으로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5.3㎝, 세로 27.2㎝, 반곽 크기는 가로 12.8㎝, 세로 19.7㎝이다. 행수는 11행, 한 행의 자수는 19자이다.

태종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은 계명대학교 도서관, 성암고서박물관, 그리고 개인 소장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별도의 조선 전기 간행본으로 고려대학교 도서관 만송문고에 전해진다. 이 가운데 계명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보물 1465호로 지정되었다. 덕원당 고문헌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는 『도은선생시집』태종 연간에 간행된 초간본과 동일한 것이다. 본서의 저본은 덕원당 고문헌자료관 소장본이다.

[구성/내용]

시집 3권, 문집 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덕원당 고문헌자료관 소장본은 책 앞뒤의 일부가 탈락되어 전체 5권 가운데 권3~5만 남아 있다. 3권에는 여러 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4권부터는 서명이 ‘~시집(詩集)’에서 ‘~문집(文集)’으로 바뀌면서 「복재기(複齋記)」 등 기(記) 6편, 「진맥도지(診脈圖誌)」 1편, 「송이호연부합포막서(送李浩然赴合浦幕序)」 등 서(序) 11편이 들어 있다. 5권에는 「초옥자전(草屋子傳)」·「배열부전(裵烈婦傳)」 등 전(傳) 2편, 「대부사묘제의(大夫士廟祭議)」 1편, 「선대부인행장(先大夫人行狀)」 1편, 「향승지암사여루진인작찬(鄕僧止庵寫余陋眞因作讚)」 1편, 「제김가행시고후(題金可行詩藁後)」 등 제후(題後) 3편, 「진중간진호집설예기전(進重刊陳澔集說禮記箋)」 1편, 「하등극표(賀登極表)」·「하책황태후표(賀冊皇太后表)」 등 표(表) 16편, 「하정전(賀正箋)」 1편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덕원당 고문헌자료관 소장의 『도은선생시집』은 비록 권1~2에 해당하는 부분이 탈락되긴 했지만 현재 전해지고 있는 판본이 매우 적은 상태에서 인쇄 상태가 양호하여 조선 전기 출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더불어 고려 후기 학자 이숭인의 학문과 사상을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8.02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1)「송리호연부합포막서(送李浩然赴合浦幕序)」 등 서(序) 11편이 ->「송이호연부합포막서(送李浩然赴合浦幕序)」 등 서(序) 11편이 2)「선대부인행상(先大夫人行狀)」 1편 ->「선대부인행장(先大夫人行狀)」 1편 3) 하책황대후표(賀冊皇大后表)」 등 표(表) 16편 ->하책황태후표(賀冊皇太后表)」 등 표(表) 16편 4) 「하정전(賀正牋)」 1편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하정전(賀正箋)」 1편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