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노명우(盧明愚)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13
한자 盧明愚
영어공식명칭 Noh Myeongu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7년 8월 5일연표보기 - 노명우(盧明愚)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9년 4월 1일 - 노명우 공주시장에서 만세 시위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월 15일 - 노명우 금강문인회 결성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33년 5월 - 노명우 비밀 결사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 결성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7월 - 노명우 대야구락부 조직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35년 - 노명우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36년 6월 11일연표보기 - 노명우(盧明愚)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 노명우(盧明愚) 대통령 표창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노명우(盧明愚)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출생지 합송리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공주영명중고등학교 - 충청남도 공주시 영명학당2길 33[중동 308]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노명우(盧明愚)[1897~1936]는 1897년 8월 5일 출생했고 본적은 부여군 규암면 합송리이다. 공주 영명학교에 재학 중이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항일 전단 1,000여 매를 인쇄하였고, 유준석(柳俊錫)과 함께 각자 전단 100매씩을 지니고 있다가 4월 1일 공주시장에서 살포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8월 2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형을 선고받았다.

노명우는 이후 조선일보·동아일보·중외일보·중앙일보 등에서 기자와 지국장을 지냈다. 또한 부여농민학원을 창설하고 농민청년회와 농민조합을 조직하여 후원하였다. 1931년 1월 15일 유기섭(柳基燮)·장창선(張昌善)·오기영(吳祺泳)·이원인(李原人) 등과 함께 금강문인회(錦江文人會)를 조직하여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봄 이호철(李戶喆)·유기섭·장창선·오기영 등과 함께 부여군 홍산면에서 사회주의 사상을 보급하고 항일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농민조합을 조직하고자 하였으나 일제 경찰의 취체가 심하여 철회하였다.

노명우는 동지들과 함께 1933년 5월 비밀 결사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를 결성하였고, 7월에 청년들을 규합하여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의 대외 위장 지부로서 대야구락부를 조직하여 단체를 확대하려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노명우는 1935년 11월 25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았고, 출소한 뒤 얼마 지나지 않은 1936년 6월 11일에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노명우의 공적을 기려 1982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