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암사 십육나한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169
한자 靑巖寺十六羅漢像
영어의미역 Shrine for Sixteen Arhat-Protectors in Cheongam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18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장처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석고
크기(높이) 28㎝
소유자 청암사
관리자 청암사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청암사 나한전에 있는 16개의 나한상.

[개설]

나한(羅漢)은 부처를 믿고 따르는 제자들을 의미한다. 본래 나한이란 인도의 옛말 아르하트에서 온 단어이다. 아르하트는 다른 말로 아라한(阿羅漢)[Arhan]이라 하며 줄여서 나한이라고도 한다. 뜻으로 옮겨 응공(應供), 무학(無學), 응진(應眞)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무학은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는 뜻이고, 응진은 진리에 도달했다는 뜻이다.

아라한, 즉 나한은 인도에서 본래 ‘존경받을 만한 사람’, ‘공양 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의미였다. 부처도 처음에는 ‘아라한’이라 불렸다 한다. 초기 불교에서는 부처의 제자들이 수행을 통해 최고의 경지, 곧 현실의 모든 번뇌와 고통을 여읜 해탈의 상태를 일컫는 말로 그 의미가 바뀌었다. 대승 불교에서는 불자들의 목표가 무수한 생을 거듭해서라도 보살도를 완성하여 스스로 부처가 되는 것에 있었기 때문에, 아라한은 소승의 수행자를 일컫는 말로 그 의미가 또 한번 바뀌었다.

나한상에는 10대 제자상, 16나한상, 500나한 등이 있다. 이 중 16나한은 석가모니부처의 직제자 가운데 정법을 지키기로 맹세한 16명을 일컫는다. 16나한은 핀돌라브하라드바아쟈·카나카밧사·카나카브하라드바아쟈·수빈다·나쿨라·브하드라·카리카·바즈라푸트라·지바카·판타카·라후라·나가세나·앙가쟈·바라나밧시·아리타·쿠다판타카이다. 16나한은 당나라 때 현장법사에 의해 중국에 전해지면서 숭앙의 대상이 되었으며, 일본에도 전해지면서 크게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8세기 후반에 이르러 16나한에 대한 숭앙이 성행하였다. 주로 나한상은 ‘불화나 탱화’로 그려졌다.

[형태]

청암사 십육나한상은 제각기 모습이 다르나 대체로 높이 28㎝, 둘레 15㎝의 크기이며, 석고로 만들어졌다. 백색으로 양 어깨를 다 덮은 통견의(通肩衣)를 걸친 것은 공통적이다. 이 나한상들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