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1213 |
---|---|
한자 | 姜遇昌旌閭閣 |
영어음역 | Gang Uchang Jeongnyeogak |
영어의미역 | Monument Shrine to Gang Uchang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율리 293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혜숙 |
건립 | 1861년![]() |
---|---|
현 소재지 |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율리 293
![]() |
성격 | 정려각 |
정면 칸수 | 1칸 |
측면 칸수 | 1칸 |
관리자 | 진주 강씨 문중 |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 옥율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강우창의 정려각.
강우창(姜遇昌)은 조선 시대 광해군 때의 인물이다. 평소 부모에 대한 효심이 지극하여 조석으로 틈만 있으면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늘 가까이에서 맴돌며 정성으로 보살폈다. 그러던 중 부친이 병들자 직접 환자의 대변을 맛봐 병환의 위중을 헤아렸다. 병세가 위독할 때마다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그 피를 마시게 하면서 3년간 한결같은 정성으로 간병하자 인근에 그의 효성을 칭찬하는 목소리가 자자했다. 그가 죽고 200년이 지난 1862년(철종 13) 유림의 상소로 나라에서 정려(旌閭)를 내렸다. 마을 앞에 효자비를 세우고 비각(碑閣)을 세웠다.
강우창 정려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안에 강우창 정려비가 있다. 정려비 전면에 ‘효자학생강우창지려(孝子學生姜遇昌之閭)’란 비명(碑銘)이 새겨져 있으며, ‘숭정기원후사신유구월일성상명정(崇禎紀元後四辛酉九月日聖上命旌)’[1861년]의 건비 연대가 새겨져 있다. 비의 크기는 폭 49.5㎝, 높이 160.5㎝, 두께 20.5㎝이다. 비각의 크기는 220×180㎝이다. 비각 담은 벽돌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