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행도부상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1709
한자 行到扶桑院
영어음역 Haengdobusangwon
영어의미역 Poem of Haengdobusangwon Accommodation Facilit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승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1420년연표보기
저자 몰년 1488년연표보기
배경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부상리
성격 한시
작가 서거정

[정의]

조선 시대 서거정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부상리의 숙박 시설에 머물면서 지은 시.

[개설]

「행도부상원(行到扶桑院)」서거정(徐居正)[1420~1488]이 서울을 왕래하던 중 관원을 위한 국영 숙식 시설인 부상원에 머물면서 창작한 한시이다. 부상리는 옛 개령군 남면에 속하는 지역이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부상역이 있었으므로 역말이라 하였고, 또 뽕나무가 많아서 부상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서거정은 호가 사가정(四佳亭)으로 본관은 달성이다. 조선 초기의 문인으로 어릴 때부터 신동이었다. 6대 임금을 섬기면서 6조 판서를 거쳤고 대사헌을 두 번, 과거 시험관을 23번 지내면서 관직에 45년이나 있었다.

[내용]

돌고도는 산길이라 높고 낮은데/ 부상에 당도하니 낮닭이 우네/ 찬바람에 구름은 재 넘어가고// 눈녹아 개울물은 다리밖에 흐르네/ 천지를 시벽삼아 세월속에 몸부치고// 타향살이 매인벼슬 생각만 어지러워/ 우습다 시벽은 예대로 남아/ 벽장의 고인시를 다시 점검하누나[亂山歸路互高低 行到扶桑正午鷄 雲度寒風高嶺北 雪殘流水斷橋西 光陰逆旅身如寄 覊宦他鄕思轉迷 自笑詩狂古猶態 壁間重檢古人題].

[특징]

「행도부상원」에서는 서거정이 벼슬길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못하고 연연하여 생활을 하면서도, 일면 인생의 영욕성쇠(榮辱盛衰)에 초탈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시를 통하여 가슴 속에 응어리진 아픔을 잊고자 하였다. 속세에 묻혀서 자연으로 떠나지 못하는 자신의 생활을 타향살이라고 비유한 대목은 그의 심정이 어떠하였는가를 짐작케 한다. 자연을 동경(憧憬)하면서도 자연으로 돌아갈 수 없는 신세에 마음이 어지러웠던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 웃어넘기는 자세는 역시 초탈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서거정은 출사(出仕)하여 위국위민(爲國爲民)의 소심(素心)을 구현하고 싶었지만 현실에서는 그 욕망을 충족시키기가 어려웠다. 자신의 동료들은 불의에 동조하지 않고 의(義)를 찾아 떠나갔지만, 그 만은 수직(守職)에 임했다. 관계(官界)에서 그는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왕을 보필하고 많은 치적을 쌓았지만, 자신은 벼슬살이를 시름이라고까지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몸은 비록 벼슬살이를 하고 있지만, 그의 정신세계는 항상 전원(田園) 속에 살고 싶어 했기 때문이다. 「행도부상원」은 이와 같은 작자 서거정의 당시 심리적 갈등상태를 가감 없이 보여 주고 있는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