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30117 |
---|---|
한자 | 胎峯 |
이칭/별칭 | 정종태실 |
분야 | 지리/자연 지리,역사/전통시대 |
유형 | 지명/자연 지명,유적/터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송기동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399년 4월 5일 - 정종대왕 어태를 직지사 대웅전 뒷산에 안치한데서 유래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28년 - 조선총독부에서 전국의 태실을 함께 모아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고양 서삼릉 인근으로 이안하여 현재는 중동석과 둘레석 일부, 태실터만 남아 있음 |
유입지 | 태봉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
성격 | 산|유적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대웅전 뒤에 있는 정종대왕의 태를 안치한 산.
조선 정종이 1398년(정종 즉위) 등극한 후 고향인 함경도 함흥에 묻어 둔 태를 1399년(정종 1) 4월 5일 사두혈의 명당으로 이름난 직지사 뒷산 정상부로 옮겨 묻었는데 어태를 묻은 산이라 하여 ‘태봉’이라 하였다.
1399년 태봉에 태를 옮겨 안치한 후 직지사를 태실을 수호하는 수직사찰로 지정하여 관리해오다가 일제 강점기인 1928년 왕가의 정통성을 부정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전국의 명당에 안치된 모든 태실을 파고 태 항아리만을 모아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 인근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안치하였다. 현재는 직지사 극락전 잔디밭에 중동석 1기, 성보박물관 앞에 둘레석 2기와 태실보수기념비 2기, 산 정상에 둘레석 1기가 남아 있다.
태봉은 황악산 끝자락의 북봉(北峯)으로 직지사 대웅전으로부터 100m 정도 떨어진 야산인데 태실을 보호하기 위해 예부터 벌목을 금지하여 아름드리 소나무 군락이 장관을 이룬다.
북암마을에서 태봉으로 올라오는 등산로가 있으며 2020년 태봉 둘레길을 조성하여 쉽게 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