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민중들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민속놀이는 옛날부터 민간에 전승되어 오는 여러 가지 놀이로서 향토색을 지니며, 전통적으로 해마다 행하여 오는 놀이를 말한다. 민속놀이는 민족 구성원의 정서를 자극시켜 대중적 흥취를 돋우고 공동적인 감흥 속에서 짜임새 있는 구조적 행동을 공동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상황 조성 작업이라고 말할 수...
-
경상북도 김천시 감천면 광기2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물놀이. 광기농악은 김천시 감천면 광기2리에서 정월 초 집집마다 마을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걸립하던 지신밟기와 두레의 전형을 잘 갖춘 풍물의 형태가 두루 보이는 민속놀이이다. 김천시 감천면 광기2리는 조선 시대까지 성주군 신곡면에 속했던 마을로 감천에 인접하여 평야지가 많고 토질이 비옥하여 일찍이 벼농사가 발달...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손을 불빛에 비추어 벽에 그림자를 만들며 노는 놀이, 그림자놀이는 손·인형 등으로 물건의 시늉을 불빛에 비추어 벽에 마치 실물 모양과 비슷한 그림자를 만들면서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전기가 일반화되기 전까지 주로 겨울의 긴 밤 시간에 전국적으로 널리 행해졌다. 보통 동물의 모양을 흉내 내는 간단한 방법부터 작은 소도구를 이용한 복잡한 방법까지 다양하...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땅에 선을 긋고 풀, 돌 등으로 만든 말을 움직여서 겨루는 놀이. 꼰은 주로 땅이나 종이 위에 다양한 형태의 말밭을 그려 놓고 두 편으로 나눈 후, 말을 정해진 방향과 횟수대로 움직여 상대방의 말을 가두거나 따내며 승부를 겨루는 경합 쟁취형 놀이이다. 이를 ‘고누’라고도 한다. 김천 지역에서는 샘꼰, 참꼰, 물래꼰, 오목꼰 등 네 종류의 놀이가 성...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여름에 풀을 베거나 겨울에 나무를 하러 가서 즐기는 놀이. 낫치기는 낫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산에 나무를 하러 가거나 가축의 먹이인 풀을 베러 가서 지치거나 심심할 때 나무꾼이나 꼴 베는 아이들이 낫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내기를 하며 즐기는 놀이이다. 이를 ‘갈고리 던지기’, ‘낫걸이’ 등이라고도 한다. 낫치기는 겨울에 산으로 나무를...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윷판의 말이 네 번을 먼저 나야 이기는 윷놀이 방식. 윷놀이는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그것이 나타내는 형상을 통해 일정한 행로를 통과하도록 말[馬]을 놓아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넉동배기 윷놀이는 윷을 던져 나온 결과대로 게임을 진행시켜 윷판의 말 4개가 먼저 최종점을 통과하는 편이 이기는 놀이이다. 윷의 기원에 대해 성호(星湖) 이익(李瀷)...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소원을 빌며 나무로 만든 달집에 불을 지르는 놀이. 달집태우기는 달맞이·횃불싸움 등과 함께 정월 대보름의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만들고, 달이 솟으면 불을 지르며 새해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한다. 이를 달집그슬기, 달불놀이 등이라고도 한다. 정월 대보름날 달이 뜰 무렵에 생솔가지나 나뭇더미를 쌓아...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동네 청년들이 돌을 들어 겨루는 놀이. 들돌은 동네 장정들이 힘자랑을 하던 옛날의 놀이 도구 겸 운동 기구이다. 들돌놀이는 장정들이 아주 무거운 돌을 들어 올려 어깨 위로 넘김으로써 힘자랑을 하는 민속놀이임과 동시에 힘을 통해 성인의 자격을 부여받는 일종의 통과 의례이다. 특히 백중 무렵 꼼비기날에 일꾼들 사이에서는 들돌들이를 하여 어린 일꾼이 온...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못을 이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못치기는 끝을 뾰족하게 만든 쇠못이나 나무·대나무 못을 땅에 꽂거나, 꽂힌 못을 쓰러뜨려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못치기는 두 명 또는 여러 명이 어울려 할 수 있는 놀이로, 겨울철 벼 베기가 끝난 빈 논이나 무른 땅바닥이 있는 곳에 못을 쳐서 다양한 방법으로 승부를 가린다. 쇠못과 나무못 가운데 어느 것이...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여름철에 아이들이 물을 막아 즐기는 놀이. 보(洑)란 논에 물을 대기 위해 둑을 쌓거나 흐르는 냇물을 막아 두는 곳을 말한다. 보싸움은 냇가에서 패를 나누어 제각기 물을 막아 둑을 쌓아 놓고, 막았던 물꼬를 터서 상대의 둑을 무너뜨리는 놀이이다. 옛날에는 논농사를 짓는 데 비의 역할이 매우 컸다. 흐르는 물을 막아 보를 만들려면 많은 사람들이 힘을...
-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예지리, 신리에서 정월 대보름에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 봉계동 줄당기기는 주민들이 매년 정월 대보름에 줄을 당기면서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봉계동[현 김천시 봉산면 인의리, 예지리, 신리 등 3개 마을을 통칭]은 예부터 창녕 조씨와 연일 정씨가 대대로 살면서 반촌의 면모를 형성한 큰 마을이다. 이 마을은 김천에서 추풍령으...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어린 소녀들이 사기그릇 조각을 이용하여 즐기는 놀이. 사금파리놀이는 10세에서 15세 사이의 어린 소녀들이 사기그릇의 깨어진 작은 조각을 가지고 방이나 마당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할 수 있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쇠금파리놀이’라고도 한다. 사금파리는 사기그릇의 조각을 말하는데 날카로운 부분을 갈아서 둥글게 5㎝ 내외로 만들어 사용한다. 통상 두...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여자아이들이 손뼉을 치고 노래를 부르며 즐기는 놀이. 수박치기는 여자아이들이 짝을 이루어 노래에 맞추어 손을 율동적으로 놀리면서 손뼉을 “짝! 짝!” 치면서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박수치기’라고도 한다. 수박은 기쁨, 찬성, 환영을 나타내거나 장단을 맞추려고 두 손을 마주 치는 손뼉을 의미한다. 주로 손을 써서 상대를 공격하거나 수련을 하는 한...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네 명이 숫자를 적은 80매의 종이를 가지고 노는 놀이. 수투는 어른 네 사람이 편을 지어 종이나 가죽 80매에 적힌 숫자풀이를 하며 노는 놀이이다. 이를 수천(數千), 수투전(數鬪牋), 투전(鬪箋) 등이라고도 한다. 초기에는 주로 상류층 남성들이 종이로 만든 도구를 가지고 방안에서 하는 놀이였는데 노는 방법도 다양하게 발전했다. 수투는 몇 자 안...
-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과 지례면에서 두 개의 주사위를 사용해 승부를 겨루는 놀이. 쌍륙은 김천시 아포읍과 지례면 일대에서 두 사람 혹은 두 편이 말을 가지고 2개의 주사위를 죽통에 넣고 흔든 다음 빼내서 그 나온 수대로 판 위에 말을 써서 먼저 나가면 이기는 민속놀이이다. 쌍륙은 서역의 유희로 중국의 육조 시대와 수당 시대에 성행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 시대에 투호, 저...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며 즐기는 놀이. 연날리기는 오랜 옛날부터 전승되어 오는 민족 전래의 기예(技藝)의 하나로서, 음력 정초가 되면 해마다 장관을 이루었던 민속놀이이다. 연은 종이에 가는 댓가지[竹骨]를 붙여 실로 꿰어 공중에 날리는 놀이 용구로서 바람을 이용하여 하늘에 띄운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여자아이들이 땅에 칸을 만들어 즐기는 놀이. 오간놀이는 땅바닥에 여러 공간을 구분해 그려 놓고 그 안에 옥자[납작한 돌]를 던진 다음 한 발로 차서 선에 걸리지 않게 차례로 다음 공간으로 옮겨서 한 바퀴를 돌아오며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사방치기’라고도 한다. 오간놀이는 마당이나 골목길, 운동장, 논바닥 등 평평한 땅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옥...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대룡2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물놀이. 용복농악은 김천시 대항면 대룡2리 용복마을에서 두레의 전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두레 풍물’이라고도 한다. 김천시 대항면 대룡2리 용복마을은 예부터 논농사가 발달한 지역으로 벼농사와 관련된 농경 문화가 잘 전승되어 온 마을이다. 용복농악의 대표적인 사례가 이웃한 신평마을과의 줄다리기로 매년...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용복마을과 신평마을 주민 간 단오일에 개최된 전통 민속놀이. 김천시 대항면 용복마을과 신평마을은 현재는 포도가 유명한 마을이지만 예전에는 벼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마을로서 양 마을의 경계를 이루는 덕산천을 경계로 화합과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다양한 놀이가 행해져 왔다. 그중에서도 단오일인 음력 5월 5일마다 줄다리기가 성행했는데 그 연원은 조선 중기로 추정하고...
-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월곡리 달이실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물놀이. 월곡농악은 김천시 부항면 월곡리 달이실마을에서 정월 초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밟기를 하고 마을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던 걸립의 전통을 이은 민속놀이이다. 이를 ‘달이실풍물’, ‘월곡풍물’, ‘월곡매구’ 등이라고도 한다. 김천시 부항면 월곡리는 과거 지례군 상서면에 속했던 마을이다. 월곡(月谷), 또는 달...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공채를 이용해서 공을 치며 즐기는 놀이. 장치기는 남자아이들이 주로 감천의 모래밭에서 집단으로 편을 갈라 돌이나 솔방울·새끼 등으로 만든 공을 공채[나무 막대기]로 쳐서 상대편 골문 안으로 밀어 넣으면 점수를 얻는 오늘날의 하키와 비슷한 놀이이다. 이를 ‘얼레공놀이’라고도 한다. 장치기는 옛날 무사나 귀족 출신의 젊은이들이 궁중에서 말을 타고 공채...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청소년들이 벼슬 이름이 적힌 판을 이용하여 명절에 즐기던 실내 놀이. 종경도치기는 말판에 정1품에서 종9품에 이르는 문무백관의 관직명을 차례로 적어 놓고 윤목(輪木)을 던져 나온 숫자에 따라 말을 놓아 하위직부터 차례로 승진하여 고위 관직에 먼저 오르는 사람이 이기는 민속놀이이다. 종경도치기는 서당에서 공부하는 학동들이 즐겼고 일명 승경도, 승정도,...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장정들이 지게를 이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지게싸움은 양 지게 귀를 양손으로 잡고 지게를 타고 걸으면서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민속놀이이다. 겨울철 농한기에 머슴이나 농민들이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활용해 노동의 고달픔을 잊고 즐거움을 얻고자 편을 갈라 지게싸움을 했다. 놀이 도구는 지게이며 산 정상이나 구릉지의 평평한 땅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연화리에서 부녀자들이 가락지를 장난감으로 즐기던 놀이. 콩숨구기는 주로 정월이나 각종 명절에 부녀자들이 두 패로 나뉘어서 가락지를 돌리면서 하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김천 지역에서는 ‘가락지 돌리기’라고도 한다. 가락지만 있으며 놀이가 가능하며 방 안이나 야외에서도 행해졌다. 콩숨구기는 두 패로 나뉘어서 가락지를 돌리면서 논다. 통상 이기는 편을 남...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아이들이 한 발을 쥐고 깨금발로 뛰면서 상대방과 겨루는 놀이. 토끼싸움은 10세 전후의 남자 아이들이 편을 갈라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상대와 몸과 무릎을 맞부딪쳐 서로 쓰러뜨리는 놀이로서, 그 자세가 닭이 서 있는 것 같이 불안하다고 해서 이를 ‘닭싸움’이라고 한다. 놀이 방법이 간단하고 아무런 준비물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뿐 아니라...
-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청년·장년층에서 숫자를 적은 종이를 가지고 승패를 가리는 놀이. 투전은 한지를 여러 겹 붙여서 만든 지편(紙片)[문양이나 숫자를 표시하여 만든 패]를 뽑아 나온 끗수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이를 짓꼬땡이, 돌려태기, 짓꾸땅, 짓꾸땅이, 땅이 등이라고도 한다. 지편은 형편에 따라 매수를 40장, 50장, 60장, 80장 등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으...
-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에서 정월 대보름날 청소년들이 횃불을 이용하여 겨루는 놀이. 횃불싸움은 청소년들에게 단결심과 용감성, 그리고 투지를 길러 주던 대표적인 집단 놀이이다. 이를 ‘홰싸움’, ‘횃불전투’ 등이라고도 한다. 횃불싸움은 달집태우기·쥐불놀이 등과 함께 정월 대보름에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야간 놀이의 하나이다. 전국적인 민속놀이기는 하지만 특히 영동 지방과 함경도...
-
경상북도 김천 지역에서 주민들이 강이나 들로 나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즐기는 놀이. 회취(會聚)는 봄가을에 어렵고 힘든 농사일을 끝내고 마을 사람들이 함께 강·산·들 등으로 나가서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노는 민속놀이이다. 오늘날의 소풍이나 야유회와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오쯤이면 숨이 넘어가던 농사일이 한 고비를 넘게 되므로 동네마다 남녀노소 머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