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701943 |
---|---|
한자 | 衣生活 |
분야 | 생활·민속/생활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
집필자 | 박상천 |
[정의]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생활 속에서 착용해 온 의복 및 이와 관련한 풍속이나 경향.
[군산 지역의 의생활]
전라북도 군산 지역에서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던 한복의 소재는 여름에는 모시·삼베·광목·무명·옥양목 등 명주를 제외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봄과 가을에는 무명·광목·옥양목·명주, 겨울에는 무명·광목·옥양목과 명주에 솜을 넣어 입었다. 일상복으로는 광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명절에는 명주가 사용되었다.
남자의 일상복은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두루마기로 구성된다. 여성은 흰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다.
여름에는 삼베 또는 모시가 주소재인 삼베 적삼과 모시 적삼을 입었으며 삼베옷과 모시옷은 각각 집안의 경제적 사정에 따라 달라졌다.
개항 이후 근대 문물이 유입되고 일제 강점기를 겪으면서 서양식 복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남자는 바지·저고리 대신 양복을 입었고, 여자는 치마·저고리 대신 원피스나 투피스를 입었다.
1970년대 나일론이 공급되면서 전통 복식과 전통 소재의 의복이 자취를 감추었으며 군산 지역에서도 양장이 나타났다. 현재 일상생활은 대부분 서양식 바지와 셔츠 그리고 재킷으로 대체되었다.
신발은 의복과 마찬가지로 1940년대까지 전통 신발인 짚신이 일반에서 이용되었다. 1945년 해방 후 고무신이 등장하여 1980년대까지 이용되다가 1990년대에 들어 고무신은 자취를 감추었고, 합성 섬유와 피혁으로 제조된 운동화와 구두 등 서양식 신발이 일상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