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김천 출신인 최송설당 이 지은 한글 애향 가사. 「금릉풍경」 은 조선 후기에 태어나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 하의 불운한 시기를 살다 간 김천 의 여류 교육자요 작가였던 최송설당(崔松雪堂) [1855~1939]이 지은 애향·축원 가사이다. 금릉(金陵) 이란 김산(金山) [현 김천 ]의 고호(古號)...
-
김천 출신 최송설당 이 일제 강점기에 펴낸 문집. 최송설당(崔松雪堂) [1855~1939]은 조선 중기의 학자 수우당(守愚堂) 최영경(崔永慶) 의 11대손이자 부호군을 지낸 최봉관(崔鳳寬) 의 증손녀로 아버지는 지남거사(只南居士) 최창환(崔昌煥) [1827~1886], 어머니는 경주 정씨 ...
-
일제 강점기 김천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가. 1931년 김천고등보통학교 [현 김천중학교 , 김천고등학교 ]가 최송설당 등 조선인에 의해 설립되자, 김천 경제를 좌우하던 일본인들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대일본부인회 김천분회장 이와다(岩田) 는 김천 , 상주 , 선산 등지의 대일본부인회 간부들이 모인 자리에서 “시답지 않은...
-
...), 1927년 5월 사법서사회 회장에 뽑혔다. 1930년 2월 송설당교육재단 및 김천중학교 창립 상무를 수임하였고, 4월 김천군 학교 평의원에 피선되었다. 최송설당 이 1930년 32만 원이란 거금을 내놓아 김천공립보통학교 [현 김천고등학교 ]를 설립할 당시 김천 유지인 이한기 를 불러 학교 설립의 뜻을 밝혔다. 이한기...
-
...다고 한다. 1931년 4월 정열모 는 김천 에서 설립된 사립 김천고등보통학교 의 교무주임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천고등보통학교 는 영친왕 의 보모 출신인 최송설당 이 재산을 기부하여 설립한 학교였다. 그는 김천고등보통학교 에서 교무주임으로 근무하면서 조선어와 조선사와 수신을 강의하였다. 그리고 다음 해인 1932년 1월 김천고등...
-
.... 당시 집행위원회에서는 고등보통학교 설립 기금을 30만 원으로 정하고 면과 리·동까지 확대했으나 사업 추진이 여의치 못했다. 이후 1930년 2월 23일 서울 에 살던 최송설당 이 재산 관리인 이한기 를 통해 고등보통학교 설립 기금으로 32만 원을 투척한다고 밝혔으나 조선총독부 의 한국인 교육 억제책으로 인문계 학교 설립 허가를 하지 않아 ...
-
...는 인재를 양성하였으나 6·25전쟁을 맞아 교사가 소실되고 개교 27년 만에 금릉학교 는 운명을 다하였다. 민족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들과 더불어 1930년 최송설당 여사와 이한기 사이에 체결된 학교 설립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김천고등보통학교 가 설립되었고, 1935년에는 김천여자고등학교 의 전신인 김천공립고등여학교 가 ...
-
...일본인들이 두 파로 갈리어 사사건건 대립해 결국 실업학교 설립 제안은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 1931년 김천고등보통학교 [현 김천중학교 , 김천고등학교 ]가 최송설당 등 조선인에 의해 설립되자, 이에 자극을 받은 김천 의 일본인들이 실업계 중등학교 설립을 서둘렀다. 당시 타이헤이 가 농업 및 임업 계통 실업학교를 설립하려고 진행하...
-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근대 건물. 김천고등학교 구과학관 은 1931년 육영사업가 최송설당(崔松雪堂) [1855~1939]이 민족정신 함양을 목적으로 전 재산을 희사하여 설립...35년 11월 30일 김천고등보통학교 개교 기념식 및 본관 낙성식과 더불어 교주 최송설당 의 동상 제막식이 거행되었다. 이 자리에서 최송설당 은 치사를 통해 ‘특별교실'...